민주 “권영세 윤리특위 제소”…‘제명 권고’ 김남국 처리는?
입력 2023.07.24 (21:39)
수정 2023.07.24 (22:0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민주당이 수천만 원을 가상 자산에 투자했다는 권영세 장관을 윤리 위원회에 제소하라고 요구했습니다.
국민의힘은 물타기 하는 거라며 제명 권고를 받은 김남국 의원이 본질이라고 맞섰는데요.
김 의원 징계 결정권을 쥐고 있는 민주당은 복잡한 분위기입니다.
이현준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젊은이들을 따라 가상자산에 수천만 원 정도 투자했다고 밝힌 권영세 통일부 장관.
가상자산 과세 유예 법안을 공동 발의해 이해충돌 의혹이 제기됐습니다.
더불어민주당은 "남북관계가 파탄에 이르는 동안 주무 장관은 가상자산 투자를 하고 있었다"며 권 장관을 윤리위원회에 제소하라고 국민의힘에 촉구했습니다.
국민의힘이 하지 않는다면 민주당이 직접 제소하겠다고도 했습니다.
[권칠승/더불어민주당 수석대변인 : "입법 관련해서 이해 충돌 부분도 있고, 그다음에 금액이 상당히 큽니다. 업무 시간에 거래가 있었다는 보도가 있었기 때문에…"]
국민의힘은 이 같은 요구에 직접 대응하지 않았습니다.
'코인 논란'의 본질은 김남국 의원인데, "민주당이 물타기한다"는 입장입니다.
그러면서 "김남국 의원의 제명안 처리가 민주당의 '혁신'과 '양심'을 평가하는 잣대가 될 것"이라며 김 의원 징계를 압박하고 있습니다.
이번 주 윤리특위를 거쳐 김 의원 징계안이 본회의 표결까지 갈 경우 재적 의원 가운데 3분의 2, 2백 명 이상이 찬성해야 통과됩니다.
사실상 민주당이 결정권을 쥐고 있는 셈입니다.
민주당 내부는 윤리특위 조사 내용을 다시 지켜보고 판단해야 한다는 신중론부터, 조기 사퇴 요구론까지, 입장이 복잡합니다.
정의당은 김 의원이 스스로 의원직을 내려놓는 것이 국회의원으로서 국민에 대한 마지막 책무라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또 자진신고가 아닌 전수조사가 필요하다며 양당 모두에게 권익위에 조사 동의서를 제출하라고 압박했습니다.
KBS 뉴스 이현준입니다.
촬영기자:고영민/영상편집:김유진/그래픽:김지혜
민주당이 수천만 원을 가상 자산에 투자했다는 권영세 장관을 윤리 위원회에 제소하라고 요구했습니다.
국민의힘은 물타기 하는 거라며 제명 권고를 받은 김남국 의원이 본질이라고 맞섰는데요.
김 의원 징계 결정권을 쥐고 있는 민주당은 복잡한 분위기입니다.
이현준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젊은이들을 따라 가상자산에 수천만 원 정도 투자했다고 밝힌 권영세 통일부 장관.
가상자산 과세 유예 법안을 공동 발의해 이해충돌 의혹이 제기됐습니다.
더불어민주당은 "남북관계가 파탄에 이르는 동안 주무 장관은 가상자산 투자를 하고 있었다"며 권 장관을 윤리위원회에 제소하라고 국민의힘에 촉구했습니다.
국민의힘이 하지 않는다면 민주당이 직접 제소하겠다고도 했습니다.
[권칠승/더불어민주당 수석대변인 : "입법 관련해서 이해 충돌 부분도 있고, 그다음에 금액이 상당히 큽니다. 업무 시간에 거래가 있었다는 보도가 있었기 때문에…"]
국민의힘은 이 같은 요구에 직접 대응하지 않았습니다.
'코인 논란'의 본질은 김남국 의원인데, "민주당이 물타기한다"는 입장입니다.
그러면서 "김남국 의원의 제명안 처리가 민주당의 '혁신'과 '양심'을 평가하는 잣대가 될 것"이라며 김 의원 징계를 압박하고 있습니다.
이번 주 윤리특위를 거쳐 김 의원 징계안이 본회의 표결까지 갈 경우 재적 의원 가운데 3분의 2, 2백 명 이상이 찬성해야 통과됩니다.
사실상 민주당이 결정권을 쥐고 있는 셈입니다.
민주당 내부는 윤리특위 조사 내용을 다시 지켜보고 판단해야 한다는 신중론부터, 조기 사퇴 요구론까지, 입장이 복잡합니다.
정의당은 김 의원이 스스로 의원직을 내려놓는 것이 국회의원으로서 국민에 대한 마지막 책무라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또 자진신고가 아닌 전수조사가 필요하다며 양당 모두에게 권익위에 조사 동의서를 제출하라고 압박했습니다.
KBS 뉴스 이현준입니다.
촬영기자:고영민/영상편집:김유진/그래픽:김지혜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민주 “권영세 윤리특위 제소”…‘제명 권고’ 김남국 처리는?
-
- 입력 2023-07-24 21:39:33
- 수정2023-07-24 22:01:58

[앵커]
민주당이 수천만 원을 가상 자산에 투자했다는 권영세 장관을 윤리 위원회에 제소하라고 요구했습니다.
국민의힘은 물타기 하는 거라며 제명 권고를 받은 김남국 의원이 본질이라고 맞섰는데요.
김 의원 징계 결정권을 쥐고 있는 민주당은 복잡한 분위기입니다.
이현준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젊은이들을 따라 가상자산에 수천만 원 정도 투자했다고 밝힌 권영세 통일부 장관.
가상자산 과세 유예 법안을 공동 발의해 이해충돌 의혹이 제기됐습니다.
더불어민주당은 "남북관계가 파탄에 이르는 동안 주무 장관은 가상자산 투자를 하고 있었다"며 권 장관을 윤리위원회에 제소하라고 국민의힘에 촉구했습니다.
국민의힘이 하지 않는다면 민주당이 직접 제소하겠다고도 했습니다.
[권칠승/더불어민주당 수석대변인 : "입법 관련해서 이해 충돌 부분도 있고, 그다음에 금액이 상당히 큽니다. 업무 시간에 거래가 있었다는 보도가 있었기 때문에…"]
국민의힘은 이 같은 요구에 직접 대응하지 않았습니다.
'코인 논란'의 본질은 김남국 의원인데, "민주당이 물타기한다"는 입장입니다.
그러면서 "김남국 의원의 제명안 처리가 민주당의 '혁신'과 '양심'을 평가하는 잣대가 될 것"이라며 김 의원 징계를 압박하고 있습니다.
이번 주 윤리특위를 거쳐 김 의원 징계안이 본회의 표결까지 갈 경우 재적 의원 가운데 3분의 2, 2백 명 이상이 찬성해야 통과됩니다.
사실상 민주당이 결정권을 쥐고 있는 셈입니다.
민주당 내부는 윤리특위 조사 내용을 다시 지켜보고 판단해야 한다는 신중론부터, 조기 사퇴 요구론까지, 입장이 복잡합니다.
정의당은 김 의원이 스스로 의원직을 내려놓는 것이 국회의원으로서 국민에 대한 마지막 책무라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또 자진신고가 아닌 전수조사가 필요하다며 양당 모두에게 권익위에 조사 동의서를 제출하라고 압박했습니다.
KBS 뉴스 이현준입니다.
촬영기자:고영민/영상편집:김유진/그래픽:김지혜
민주당이 수천만 원을 가상 자산에 투자했다는 권영세 장관을 윤리 위원회에 제소하라고 요구했습니다.
국민의힘은 물타기 하는 거라며 제명 권고를 받은 김남국 의원이 본질이라고 맞섰는데요.
김 의원 징계 결정권을 쥐고 있는 민주당은 복잡한 분위기입니다.
이현준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젊은이들을 따라 가상자산에 수천만 원 정도 투자했다고 밝힌 권영세 통일부 장관.
가상자산 과세 유예 법안을 공동 발의해 이해충돌 의혹이 제기됐습니다.
더불어민주당은 "남북관계가 파탄에 이르는 동안 주무 장관은 가상자산 투자를 하고 있었다"며 권 장관을 윤리위원회에 제소하라고 국민의힘에 촉구했습니다.
국민의힘이 하지 않는다면 민주당이 직접 제소하겠다고도 했습니다.
[권칠승/더불어민주당 수석대변인 : "입법 관련해서 이해 충돌 부분도 있고, 그다음에 금액이 상당히 큽니다. 업무 시간에 거래가 있었다는 보도가 있었기 때문에…"]
국민의힘은 이 같은 요구에 직접 대응하지 않았습니다.
'코인 논란'의 본질은 김남국 의원인데, "민주당이 물타기한다"는 입장입니다.
그러면서 "김남국 의원의 제명안 처리가 민주당의 '혁신'과 '양심'을 평가하는 잣대가 될 것"이라며 김 의원 징계를 압박하고 있습니다.
이번 주 윤리특위를 거쳐 김 의원 징계안이 본회의 표결까지 갈 경우 재적 의원 가운데 3분의 2, 2백 명 이상이 찬성해야 통과됩니다.
사실상 민주당이 결정권을 쥐고 있는 셈입니다.
민주당 내부는 윤리특위 조사 내용을 다시 지켜보고 판단해야 한다는 신중론부터, 조기 사퇴 요구론까지, 입장이 복잡합니다.
정의당은 김 의원이 스스로 의원직을 내려놓는 것이 국회의원으로서 국민에 대한 마지막 책무라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또 자진신고가 아닌 전수조사가 필요하다며 양당 모두에게 권익위에 조사 동의서를 제출하라고 압박했습니다.
KBS 뉴스 이현준입니다.
촬영기자:고영민/영상편집:김유진/그래픽:김지혜
-
-
이현준 기자 hjni14@kbs.co.kr
이현준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