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사 전날 119에 “제방 유실 위험” 신고…“출동 지령 없어”
입력 2023.07.27 (21:13)
수정 2023.07.27 (22:0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이태원 유가족이 오송 유가족의 손을 잡았습니다.
진심 어린 사과도 책임지는 사람도 없는 닮은꼴 참사가 되풀이되고 있다며 안타까운 마음을 전했습니다.
미리 위험을 알리는 경고가 있었지만 막지 못한 것도 두 참사의 공통점입니다.
오송 지하차도가 잠긴 날, 경찰이 두 차례 신고에도 현장에 안 나갔다는 의혹이 불거졌는데 앞서, 하루 전에도 119 상황실에 제방이 무너지거나 주변이 침수될 위험이 있다고 신고 전화가 왔지만, 아무도 출동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송국회 기자입니다.
[리포트]
오송 지하차도 참사 발생 하루 전인 14일 오후 5시 21분.
충북소방본부 119상황실에 한 통의 신고가 들어옵니다.
"재해 예방 신고가 가능하냐"는 신고자 질문에 상황실 직원은 "어떤 내용이냐" 물어봅니다.
신고자는 이어 "미호강 교량을 세우는데 제방을 허물고 공사를 했다"며, 임시 둑 유실과 침수 위험을 알립니다.
그러면서, 임시로 흙을 성토해 놨는데, 강물이 불어나 제방이 무너진다면 교통이 마비되고 오송읍 일대가 물난리 난다는 구체적인 경고도 이어갑니다.
당시 미호강 수위는 6.8 미터로 홍수주의보 기준인 7 미터에 근접해 있었습니다.
하지만 119상황실 직원은 "조금 위험해 보이긴 할 것 같다"면서도 "출동 인력이 수해 현장에 나가 있어 예방 차원으로 갈 만한 인력이 없다"고 말합니다.
그런 뒤 "구청이나 이런 데 한 번 전화해 보시겠어요?"라며 대답을 끝냅니다.
참사 전날, 범람과 침수 위험을 예고한 119신고가 있었지만, 소방 당국은 별도의 출동 지령을 내리지 않았던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신고자도 체념한 듯 전화를 끊으며 신고는 결국 1분 26초 만에 마무리됩니다.
[천준호/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위원 : "다급한 마음으로 국가에 신고했다면 당연히 관계 기관에 정보를 전파해 대응했어야 맞습니다. 또 그렇게 하라고 재난안전통신망을 구축한 것인데요."]
이에 대해 소방당국은 "수사 중인 사안이라 답변이 어렵다"고 밝혔습니다.
검찰은 당시 출동했던 소방차의 블랙박스 등을 압수해 참사 전날과 당일의 부실 대응 의혹을 수사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송국회입니다.
촬영기자:김장헌/영상편집:오진석/그래픽:최윤우
이태원 유가족이 오송 유가족의 손을 잡았습니다.
진심 어린 사과도 책임지는 사람도 없는 닮은꼴 참사가 되풀이되고 있다며 안타까운 마음을 전했습니다.
미리 위험을 알리는 경고가 있었지만 막지 못한 것도 두 참사의 공통점입니다.
오송 지하차도가 잠긴 날, 경찰이 두 차례 신고에도 현장에 안 나갔다는 의혹이 불거졌는데 앞서, 하루 전에도 119 상황실에 제방이 무너지거나 주변이 침수될 위험이 있다고 신고 전화가 왔지만, 아무도 출동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송국회 기자입니다.
[리포트]
오송 지하차도 참사 발생 하루 전인 14일 오후 5시 21분.
충북소방본부 119상황실에 한 통의 신고가 들어옵니다.
"재해 예방 신고가 가능하냐"는 신고자 질문에 상황실 직원은 "어떤 내용이냐" 물어봅니다.
신고자는 이어 "미호강 교량을 세우는데 제방을 허물고 공사를 했다"며, 임시 둑 유실과 침수 위험을 알립니다.
그러면서, 임시로 흙을 성토해 놨는데, 강물이 불어나 제방이 무너진다면 교통이 마비되고 오송읍 일대가 물난리 난다는 구체적인 경고도 이어갑니다.
당시 미호강 수위는 6.8 미터로 홍수주의보 기준인 7 미터에 근접해 있었습니다.
하지만 119상황실 직원은 "조금 위험해 보이긴 할 것 같다"면서도 "출동 인력이 수해 현장에 나가 있어 예방 차원으로 갈 만한 인력이 없다"고 말합니다.
그런 뒤 "구청이나 이런 데 한 번 전화해 보시겠어요?"라며 대답을 끝냅니다.
참사 전날, 범람과 침수 위험을 예고한 119신고가 있었지만, 소방 당국은 별도의 출동 지령을 내리지 않았던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신고자도 체념한 듯 전화를 끊으며 신고는 결국 1분 26초 만에 마무리됩니다.
[천준호/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위원 : "다급한 마음으로 국가에 신고했다면 당연히 관계 기관에 정보를 전파해 대응했어야 맞습니다. 또 그렇게 하라고 재난안전통신망을 구축한 것인데요."]
이에 대해 소방당국은 "수사 중인 사안이라 답변이 어렵다"고 밝혔습니다.
검찰은 당시 출동했던 소방차의 블랙박스 등을 압수해 참사 전날과 당일의 부실 대응 의혹을 수사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송국회입니다.
촬영기자:김장헌/영상편집:오진석/그래픽:최윤우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참사 전날 119에 “제방 유실 위험” 신고…“출동 지령 없어”
-
- 입력 2023-07-27 21:13:15
- 수정2023-07-27 22:06:02

[앵커]
이태원 유가족이 오송 유가족의 손을 잡았습니다.
진심 어린 사과도 책임지는 사람도 없는 닮은꼴 참사가 되풀이되고 있다며 안타까운 마음을 전했습니다.
미리 위험을 알리는 경고가 있었지만 막지 못한 것도 두 참사의 공통점입니다.
오송 지하차도가 잠긴 날, 경찰이 두 차례 신고에도 현장에 안 나갔다는 의혹이 불거졌는데 앞서, 하루 전에도 119 상황실에 제방이 무너지거나 주변이 침수될 위험이 있다고 신고 전화가 왔지만, 아무도 출동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송국회 기자입니다.
[리포트]
오송 지하차도 참사 발생 하루 전인 14일 오후 5시 21분.
충북소방본부 119상황실에 한 통의 신고가 들어옵니다.
"재해 예방 신고가 가능하냐"는 신고자 질문에 상황실 직원은 "어떤 내용이냐" 물어봅니다.
신고자는 이어 "미호강 교량을 세우는데 제방을 허물고 공사를 했다"며, 임시 둑 유실과 침수 위험을 알립니다.
그러면서, 임시로 흙을 성토해 놨는데, 강물이 불어나 제방이 무너진다면 교통이 마비되고 오송읍 일대가 물난리 난다는 구체적인 경고도 이어갑니다.
당시 미호강 수위는 6.8 미터로 홍수주의보 기준인 7 미터에 근접해 있었습니다.
하지만 119상황실 직원은 "조금 위험해 보이긴 할 것 같다"면서도 "출동 인력이 수해 현장에 나가 있어 예방 차원으로 갈 만한 인력이 없다"고 말합니다.
그런 뒤 "구청이나 이런 데 한 번 전화해 보시겠어요?"라며 대답을 끝냅니다.
참사 전날, 범람과 침수 위험을 예고한 119신고가 있었지만, 소방 당국은 별도의 출동 지령을 내리지 않았던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신고자도 체념한 듯 전화를 끊으며 신고는 결국 1분 26초 만에 마무리됩니다.
[천준호/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위원 : "다급한 마음으로 국가에 신고했다면 당연히 관계 기관에 정보를 전파해 대응했어야 맞습니다. 또 그렇게 하라고 재난안전통신망을 구축한 것인데요."]
이에 대해 소방당국은 "수사 중인 사안이라 답변이 어렵다"고 밝혔습니다.
검찰은 당시 출동했던 소방차의 블랙박스 등을 압수해 참사 전날과 당일의 부실 대응 의혹을 수사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송국회입니다.
촬영기자:김장헌/영상편집:오진석/그래픽:최윤우
이태원 유가족이 오송 유가족의 손을 잡았습니다.
진심 어린 사과도 책임지는 사람도 없는 닮은꼴 참사가 되풀이되고 있다며 안타까운 마음을 전했습니다.
미리 위험을 알리는 경고가 있었지만 막지 못한 것도 두 참사의 공통점입니다.
오송 지하차도가 잠긴 날, 경찰이 두 차례 신고에도 현장에 안 나갔다는 의혹이 불거졌는데 앞서, 하루 전에도 119 상황실에 제방이 무너지거나 주변이 침수될 위험이 있다고 신고 전화가 왔지만, 아무도 출동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송국회 기자입니다.
[리포트]
오송 지하차도 참사 발생 하루 전인 14일 오후 5시 21분.
충북소방본부 119상황실에 한 통의 신고가 들어옵니다.
"재해 예방 신고가 가능하냐"는 신고자 질문에 상황실 직원은 "어떤 내용이냐" 물어봅니다.
신고자는 이어 "미호강 교량을 세우는데 제방을 허물고 공사를 했다"며, 임시 둑 유실과 침수 위험을 알립니다.
그러면서, 임시로 흙을 성토해 놨는데, 강물이 불어나 제방이 무너진다면 교통이 마비되고 오송읍 일대가 물난리 난다는 구체적인 경고도 이어갑니다.
당시 미호강 수위는 6.8 미터로 홍수주의보 기준인 7 미터에 근접해 있었습니다.
하지만 119상황실 직원은 "조금 위험해 보이긴 할 것 같다"면서도 "출동 인력이 수해 현장에 나가 있어 예방 차원으로 갈 만한 인력이 없다"고 말합니다.
그런 뒤 "구청이나 이런 데 한 번 전화해 보시겠어요?"라며 대답을 끝냅니다.
참사 전날, 범람과 침수 위험을 예고한 119신고가 있었지만, 소방 당국은 별도의 출동 지령을 내리지 않았던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신고자도 체념한 듯 전화를 끊으며 신고는 결국 1분 26초 만에 마무리됩니다.
[천준호/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위원 : "다급한 마음으로 국가에 신고했다면 당연히 관계 기관에 정보를 전파해 대응했어야 맞습니다. 또 그렇게 하라고 재난안전통신망을 구축한 것인데요."]
이에 대해 소방당국은 "수사 중인 사안이라 답변이 어렵다"고 밝혔습니다.
검찰은 당시 출동했던 소방차의 블랙박스 등을 압수해 참사 전날과 당일의 부실 대응 의혹을 수사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송국회입니다.
촬영기자:김장헌/영상편집:오진석/그래픽:최윤우
-
-
송국회 기자 skh0927@kbs.co.kr
송국회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전국 집중호우…피해 속출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