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 고지서 두려워요’…전기요금 인상 ‘냉방비 폭탄’ 현실화
입력 2023.08.08 (21:35)
수정 2023.08.09 (07:5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어제(7일)와 오늘(8일), 올 여름 들어 전력수요가 가장 많을 거란 전망대로 어제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고, 오늘도 93.3 기가와트로 비슷했습니다.
예상을 뛰어넘는 수준입니다.
내일(9일)부터는 태풍이 올라오면서 기온이 좀 내려갈 것 같지만 당장 이달 말 전기요금 고지서 걱정인 분들 많습니다.
1년 새 요금이 부쩍 올랐는데 얼마나 나올지, 석민수 기자가 따져봤습니다.
[리포트]
좌석이 열 개 남짓인 작은 카페.
7월 전기요금이 60만 원을 넘었습니다.
지난해보다 30% 넘게 올랐습니다.
찜통더위 속에 냉방기 사용이 늘어난 때문.
무더웠던 이번 달 요금이 더 걱정입니다.
[이금순/카페 사장 : "35도 36도 이렇게 돼서 (에어컨을) 계속 틀어놓는 상황이에요. 이번 달에 나오는 거 보면 이제 걱정인 거죠. 얼마나 더 나올까…"]
전기요금은 작년 여름 이후 킬로와트시 당 28.5원이 올랐습니다.
올해 여름 소상공인 평균만큼 전기를 쓸 때 내야하는 한 달 요금은 35만 원 정도.
사용량이 같다면, 작년보다 5만 원 넘게, 17% 정도 더 내야합니다.
여기에다 역대 여름철 최고치를 연이어 경신할 만큼 전기 소비가 늘면서 실제로 체감하는 요금 부담은 더 늘어날 전망입니다.
가정의 전기요금 부담도 사정은 비슷합니다.
현재 요금을 적용할 경우 하루 평균 9.7시간 에어컨을 켜는 4인 가구 전기요금은 효율에 따라 8만 원에서 최대 14만 5천 원 수준이 될 전망입니다.
여름철 누진구간 변동에도 주의할 필요가 있습니다.
450킬로와트시까지는 2단계 요금을 내지만, 그 이상은 기본요금이 한꺼번에 5,700원 늘고 초과분 요금도 43%나 오르기 때문입니다.
[유승훈/서울과기대 창의융합대학장 : "450kWh를 넘게 되면 전기요금 단가가 상당히 높게 뛰기 때문에 최대한 아껴 쓸 필요가 있죠."]
6월에서 9월분 전기요금을 나눠낼 수 있는 분납제도나 전기 절약분만큼 요금을 깎아주는 에너지캐시백 제도를 활용하는 것도 전기요금을 절약하는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KBS 뉴스 석민수입니다.
촬영기자:김한빈/영상편집:한찬의
어제(7일)와 오늘(8일), 올 여름 들어 전력수요가 가장 많을 거란 전망대로 어제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고, 오늘도 93.3 기가와트로 비슷했습니다.
예상을 뛰어넘는 수준입니다.
내일(9일)부터는 태풍이 올라오면서 기온이 좀 내려갈 것 같지만 당장 이달 말 전기요금 고지서 걱정인 분들 많습니다.
1년 새 요금이 부쩍 올랐는데 얼마나 나올지, 석민수 기자가 따져봤습니다.
[리포트]
좌석이 열 개 남짓인 작은 카페.
7월 전기요금이 60만 원을 넘었습니다.
지난해보다 30% 넘게 올랐습니다.
찜통더위 속에 냉방기 사용이 늘어난 때문.
무더웠던 이번 달 요금이 더 걱정입니다.
[이금순/카페 사장 : "35도 36도 이렇게 돼서 (에어컨을) 계속 틀어놓는 상황이에요. 이번 달에 나오는 거 보면 이제 걱정인 거죠. 얼마나 더 나올까…"]
전기요금은 작년 여름 이후 킬로와트시 당 28.5원이 올랐습니다.
올해 여름 소상공인 평균만큼 전기를 쓸 때 내야하는 한 달 요금은 35만 원 정도.
사용량이 같다면, 작년보다 5만 원 넘게, 17% 정도 더 내야합니다.
여기에다 역대 여름철 최고치를 연이어 경신할 만큼 전기 소비가 늘면서 실제로 체감하는 요금 부담은 더 늘어날 전망입니다.
가정의 전기요금 부담도 사정은 비슷합니다.
현재 요금을 적용할 경우 하루 평균 9.7시간 에어컨을 켜는 4인 가구 전기요금은 효율에 따라 8만 원에서 최대 14만 5천 원 수준이 될 전망입니다.
여름철 누진구간 변동에도 주의할 필요가 있습니다.
450킬로와트시까지는 2단계 요금을 내지만, 그 이상은 기본요금이 한꺼번에 5,700원 늘고 초과분 요금도 43%나 오르기 때문입니다.
[유승훈/서울과기대 창의융합대학장 : "450kWh를 넘게 되면 전기요금 단가가 상당히 높게 뛰기 때문에 최대한 아껴 쓸 필요가 있죠."]
6월에서 9월분 전기요금을 나눠낼 수 있는 분납제도나 전기 절약분만큼 요금을 깎아주는 에너지캐시백 제도를 활용하는 것도 전기요금을 절약하는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KBS 뉴스 석민수입니다.
촬영기자:김한빈/영상편집:한찬의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8월 고지서 두려워요’…전기요금 인상 ‘냉방비 폭탄’ 현실화
-
- 입력 2023-08-08 21:35:42
- 수정2023-08-09 07:53:02

[앵커]
어제(7일)와 오늘(8일), 올 여름 들어 전력수요가 가장 많을 거란 전망대로 어제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고, 오늘도 93.3 기가와트로 비슷했습니다.
예상을 뛰어넘는 수준입니다.
내일(9일)부터는 태풍이 올라오면서 기온이 좀 내려갈 것 같지만 당장 이달 말 전기요금 고지서 걱정인 분들 많습니다.
1년 새 요금이 부쩍 올랐는데 얼마나 나올지, 석민수 기자가 따져봤습니다.
[리포트]
좌석이 열 개 남짓인 작은 카페.
7월 전기요금이 60만 원을 넘었습니다.
지난해보다 30% 넘게 올랐습니다.
찜통더위 속에 냉방기 사용이 늘어난 때문.
무더웠던 이번 달 요금이 더 걱정입니다.
[이금순/카페 사장 : "35도 36도 이렇게 돼서 (에어컨을) 계속 틀어놓는 상황이에요. 이번 달에 나오는 거 보면 이제 걱정인 거죠. 얼마나 더 나올까…"]
전기요금은 작년 여름 이후 킬로와트시 당 28.5원이 올랐습니다.
올해 여름 소상공인 평균만큼 전기를 쓸 때 내야하는 한 달 요금은 35만 원 정도.
사용량이 같다면, 작년보다 5만 원 넘게, 17% 정도 더 내야합니다.
여기에다 역대 여름철 최고치를 연이어 경신할 만큼 전기 소비가 늘면서 실제로 체감하는 요금 부담은 더 늘어날 전망입니다.
가정의 전기요금 부담도 사정은 비슷합니다.
현재 요금을 적용할 경우 하루 평균 9.7시간 에어컨을 켜는 4인 가구 전기요금은 효율에 따라 8만 원에서 최대 14만 5천 원 수준이 될 전망입니다.
여름철 누진구간 변동에도 주의할 필요가 있습니다.
450킬로와트시까지는 2단계 요금을 내지만, 그 이상은 기본요금이 한꺼번에 5,700원 늘고 초과분 요금도 43%나 오르기 때문입니다.
[유승훈/서울과기대 창의융합대학장 : "450kWh를 넘게 되면 전기요금 단가가 상당히 높게 뛰기 때문에 최대한 아껴 쓸 필요가 있죠."]
6월에서 9월분 전기요금을 나눠낼 수 있는 분납제도나 전기 절약분만큼 요금을 깎아주는 에너지캐시백 제도를 활용하는 것도 전기요금을 절약하는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KBS 뉴스 석민수입니다.
촬영기자:김한빈/영상편집:한찬의
어제(7일)와 오늘(8일), 올 여름 들어 전력수요가 가장 많을 거란 전망대로 어제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고, 오늘도 93.3 기가와트로 비슷했습니다.
예상을 뛰어넘는 수준입니다.
내일(9일)부터는 태풍이 올라오면서 기온이 좀 내려갈 것 같지만 당장 이달 말 전기요금 고지서 걱정인 분들 많습니다.
1년 새 요금이 부쩍 올랐는데 얼마나 나올지, 석민수 기자가 따져봤습니다.
[리포트]
좌석이 열 개 남짓인 작은 카페.
7월 전기요금이 60만 원을 넘었습니다.
지난해보다 30% 넘게 올랐습니다.
찜통더위 속에 냉방기 사용이 늘어난 때문.
무더웠던 이번 달 요금이 더 걱정입니다.
[이금순/카페 사장 : "35도 36도 이렇게 돼서 (에어컨을) 계속 틀어놓는 상황이에요. 이번 달에 나오는 거 보면 이제 걱정인 거죠. 얼마나 더 나올까…"]
전기요금은 작년 여름 이후 킬로와트시 당 28.5원이 올랐습니다.
올해 여름 소상공인 평균만큼 전기를 쓸 때 내야하는 한 달 요금은 35만 원 정도.
사용량이 같다면, 작년보다 5만 원 넘게, 17% 정도 더 내야합니다.
여기에다 역대 여름철 최고치를 연이어 경신할 만큼 전기 소비가 늘면서 실제로 체감하는 요금 부담은 더 늘어날 전망입니다.
가정의 전기요금 부담도 사정은 비슷합니다.
현재 요금을 적용할 경우 하루 평균 9.7시간 에어컨을 켜는 4인 가구 전기요금은 효율에 따라 8만 원에서 최대 14만 5천 원 수준이 될 전망입니다.
여름철 누진구간 변동에도 주의할 필요가 있습니다.
450킬로와트시까지는 2단계 요금을 내지만, 그 이상은 기본요금이 한꺼번에 5,700원 늘고 초과분 요금도 43%나 오르기 때문입니다.
[유승훈/서울과기대 창의융합대학장 : "450kWh를 넘게 되면 전기요금 단가가 상당히 높게 뛰기 때문에 최대한 아껴 쓸 필요가 있죠."]
6월에서 9월분 전기요금을 나눠낼 수 있는 분납제도나 전기 절약분만큼 요금을 깎아주는 에너지캐시백 제도를 활용하는 것도 전기요금을 절약하는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KBS 뉴스 석민수입니다.
촬영기자:김한빈/영상편집:한찬의
-
-
석민수 기자 ms@kbs.co.kr
석민수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