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염수 방류 앞당긴 일본…주변국 반발 어떻게?
입력 2023.08.21 (21:05)
수정 2023.08.21 (21:3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그럼 오염수 방류를 앞둔 일본 현지 연결하겠습니다.
도쿄 박원기 특파원, 원래 이달 말쯤, 심지어 9월 초라고들 예상했는데 이렇게 앞당겨진 이유가 뭘까요?
[기자]
네, 일단 방류를 위해 할 수 있는 건 다 했다는 판단이 작용한 듯 합니다.
지난달 초 발표된 국제원자력기구 최종보고서를 근거로 일본 정부는 오염수 방류에 문제 없다며 대대적인 홍보를 해 왔는데요.
기시다 총리가 한미일 정상회의 기자회견을 통해 '국제적으로 과학적인 견해에 입각해 냉정한 대응이 확산하고 있다'고 밝혔듯, 홍보전이 어느 정도 효과를 거뒀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입니다.
또 내부적으로 보면, 다음 달 후쿠시마현 앞바다에서 저인망 어업이 재개될 예정인데요.
방류를 더 이상 늦추면 곤란하다는, 현실적인 계산을 한 것으로 일본 언론들은 보고 있습니다.
[앵커]
주변 나라, 특히 중국은 여전히 거세게 반발하고 있습니다.
일본 정부가 어떻게 대응할까요?
[기자]
네, 중국 정부는 기회 있을 때마다 '핵 오염수'라고 지칭하면서 일본의 방류 계획에 대해 강한 반대 입장을 보였는데요.
오늘(21일) 발언 직접 들어보시죠.
[왕원빈/중국 외교부 대변인 : "세계 해양 환경과 인간의 건강을 해칠 위험을 무시한 채 핵 오염수 방류 계획을 밀어붙이는 것은 지극히 이기적이고 무책임한 것입니다."]
중국은 일본산 수산물에 대해 방사능 검사를 강화하는 움직임도 보이고 있는데요.
오염수 처리 방법을 해양 방류가 아닌 대기 방출로 바꿔달라고, 러시아와 함께 요구하기도 했습니다.
실제 방류가 이뤄진다면 한국 뿐 아니라 중국의 반대 여론까지 어떻게 해결하느냐가 일본 정부의 숙제로 떠올랐습니다.
지금까지 도쿄에서 전해드렸습니다.
그럼 오염수 방류를 앞둔 일본 현지 연결하겠습니다.
도쿄 박원기 특파원, 원래 이달 말쯤, 심지어 9월 초라고들 예상했는데 이렇게 앞당겨진 이유가 뭘까요?
[기자]
네, 일단 방류를 위해 할 수 있는 건 다 했다는 판단이 작용한 듯 합니다.
지난달 초 발표된 국제원자력기구 최종보고서를 근거로 일본 정부는 오염수 방류에 문제 없다며 대대적인 홍보를 해 왔는데요.
기시다 총리가 한미일 정상회의 기자회견을 통해 '국제적으로 과학적인 견해에 입각해 냉정한 대응이 확산하고 있다'고 밝혔듯, 홍보전이 어느 정도 효과를 거뒀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입니다.
또 내부적으로 보면, 다음 달 후쿠시마현 앞바다에서 저인망 어업이 재개될 예정인데요.
방류를 더 이상 늦추면 곤란하다는, 현실적인 계산을 한 것으로 일본 언론들은 보고 있습니다.
[앵커]
주변 나라, 특히 중국은 여전히 거세게 반발하고 있습니다.
일본 정부가 어떻게 대응할까요?
[기자]
네, 중국 정부는 기회 있을 때마다 '핵 오염수'라고 지칭하면서 일본의 방류 계획에 대해 강한 반대 입장을 보였는데요.
오늘(21일) 발언 직접 들어보시죠.
[왕원빈/중국 외교부 대변인 : "세계 해양 환경과 인간의 건강을 해칠 위험을 무시한 채 핵 오염수 방류 계획을 밀어붙이는 것은 지극히 이기적이고 무책임한 것입니다."]
중국은 일본산 수산물에 대해 방사능 검사를 강화하는 움직임도 보이고 있는데요.
오염수 처리 방법을 해양 방류가 아닌 대기 방출로 바꿔달라고, 러시아와 함께 요구하기도 했습니다.
실제 방류가 이뤄진다면 한국 뿐 아니라 중국의 반대 여론까지 어떻게 해결하느냐가 일본 정부의 숙제로 떠올랐습니다.
지금까지 도쿄에서 전해드렸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오염수 방류 앞당긴 일본…주변국 반발 어떻게?
-
- 입력 2023-08-21 21:05:02
- 수정2023-08-21 21:32:22

[앵커]
그럼 오염수 방류를 앞둔 일본 현지 연결하겠습니다.
도쿄 박원기 특파원, 원래 이달 말쯤, 심지어 9월 초라고들 예상했는데 이렇게 앞당겨진 이유가 뭘까요?
[기자]
네, 일단 방류를 위해 할 수 있는 건 다 했다는 판단이 작용한 듯 합니다.
지난달 초 발표된 국제원자력기구 최종보고서를 근거로 일본 정부는 오염수 방류에 문제 없다며 대대적인 홍보를 해 왔는데요.
기시다 총리가 한미일 정상회의 기자회견을 통해 '국제적으로 과학적인 견해에 입각해 냉정한 대응이 확산하고 있다'고 밝혔듯, 홍보전이 어느 정도 효과를 거뒀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입니다.
또 내부적으로 보면, 다음 달 후쿠시마현 앞바다에서 저인망 어업이 재개될 예정인데요.
방류를 더 이상 늦추면 곤란하다는, 현실적인 계산을 한 것으로 일본 언론들은 보고 있습니다.
[앵커]
주변 나라, 특히 중국은 여전히 거세게 반발하고 있습니다.
일본 정부가 어떻게 대응할까요?
[기자]
네, 중국 정부는 기회 있을 때마다 '핵 오염수'라고 지칭하면서 일본의 방류 계획에 대해 강한 반대 입장을 보였는데요.
오늘(21일) 발언 직접 들어보시죠.
[왕원빈/중국 외교부 대변인 : "세계 해양 환경과 인간의 건강을 해칠 위험을 무시한 채 핵 오염수 방류 계획을 밀어붙이는 것은 지극히 이기적이고 무책임한 것입니다."]
중국은 일본산 수산물에 대해 방사능 검사를 강화하는 움직임도 보이고 있는데요.
오염수 처리 방법을 해양 방류가 아닌 대기 방출로 바꿔달라고, 러시아와 함께 요구하기도 했습니다.
실제 방류가 이뤄진다면 한국 뿐 아니라 중국의 반대 여론까지 어떻게 해결하느냐가 일본 정부의 숙제로 떠올랐습니다.
지금까지 도쿄에서 전해드렸습니다.
그럼 오염수 방류를 앞둔 일본 현지 연결하겠습니다.
도쿄 박원기 특파원, 원래 이달 말쯤, 심지어 9월 초라고들 예상했는데 이렇게 앞당겨진 이유가 뭘까요?
[기자]
네, 일단 방류를 위해 할 수 있는 건 다 했다는 판단이 작용한 듯 합니다.
지난달 초 발표된 국제원자력기구 최종보고서를 근거로 일본 정부는 오염수 방류에 문제 없다며 대대적인 홍보를 해 왔는데요.
기시다 총리가 한미일 정상회의 기자회견을 통해 '국제적으로 과학적인 견해에 입각해 냉정한 대응이 확산하고 있다'고 밝혔듯, 홍보전이 어느 정도 효과를 거뒀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입니다.
또 내부적으로 보면, 다음 달 후쿠시마현 앞바다에서 저인망 어업이 재개될 예정인데요.
방류를 더 이상 늦추면 곤란하다는, 현실적인 계산을 한 것으로 일본 언론들은 보고 있습니다.
[앵커]
주변 나라, 특히 중국은 여전히 거세게 반발하고 있습니다.
일본 정부가 어떻게 대응할까요?
[기자]
네, 중국 정부는 기회 있을 때마다 '핵 오염수'라고 지칭하면서 일본의 방류 계획에 대해 강한 반대 입장을 보였는데요.
오늘(21일) 발언 직접 들어보시죠.
[왕원빈/중국 외교부 대변인 : "세계 해양 환경과 인간의 건강을 해칠 위험을 무시한 채 핵 오염수 방류 계획을 밀어붙이는 것은 지극히 이기적이고 무책임한 것입니다."]
중국은 일본산 수산물에 대해 방사능 검사를 강화하는 움직임도 보이고 있는데요.
오염수 처리 방법을 해양 방류가 아닌 대기 방출로 바꿔달라고, 러시아와 함께 요구하기도 했습니다.
실제 방류가 이뤄진다면 한국 뿐 아니라 중국의 반대 여론까지 어떻게 해결하느냐가 일본 정부의 숙제로 떠올랐습니다.
지금까지 도쿄에서 전해드렸습니다.
-
-
박원기 기자 remember@kbs.co.kr
박원기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