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임 사태’ 새 국면?…“국회의원 등 유력인사에 특혜성 환매”
입력 2023.08.24 (21:51)
수정 2023.08.25 (10:2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라임과 옵티머스, 디스커버리 자산운용 등 투자자들에게 큰 피해를 준 '펀드 사기 사건'들을 금융감독원이 다시 검사해 결과를 내놨습니다.
그러면서 유력인사에게만 특혜로 돈을 빼줬다고 밝혔는데, 당사자로 지목된 국회의원은 사실이 아니라고 반발했습니다.
손서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금융감독원은 2019년 라임 사태 점검 결과를 발표하면서 비정상적인 펀드 설계와 운용 방식 등을 주로 지적했습니다.
3년 만에 나온 재검사 결과는 자금흐름과 그 사용처에 집중됐습니다.
일반 투자자는 돈을 못 찾아가던 시기에 농협중앙회, 상장회사 다선 국회의원 등 유력 인사에 대한 '특혜성 환매'가 있었다는 게 금감원 조사 결과입니다.
[함용일/금융감독원 부원장 : "다른 펀드 자금 125억 원과 운용사 고유 자금 등을 이용하여 일부 투자자들에게 특혜성 환매를 해줌으로써 네 개 펀드 투자자의 손실을 다른 펀드 투자자에게 전가하였습니다."]
의혹의 당사자로 지목된 민주당 김상희 의원은 "거래 증권사에 자산을 맡기고 수천만 원 상당의 손해를 봤을 뿐 특혜 환매를 한 적이 없다"며 강하게 반박했습니다.
금감원은 또 라임 펀드 투자처였던 5개 회사가 해외리조트 인수에 자금을 유용하는 등 2천억 원 규모의 횡령 혐의도 적발했습니다.
금감원은 횡령 자금이 정상적이지 않은 다른 곳으로 흘러간 것 같다고 검찰에 통보했다면서도, 사용처 관련 부분은 수사의 영역이라고 선을 그었습니다.
옵티머스의 경우 투자 유치와 관련해 금품 수수와 횡령 혐의는 물론 전직 임원이 투자자를 속이고 부정 거래를 공모한 사실도 밝혀졌습니다.
[함용일/금융감독원 부원장 : "투자자를 기망하여 펀드 자금을 모집한다는 사실을 알고 있었음에도 (펀드 자금을) 비상장사 사모사채에 투자하도록 운용 지시를 하고..."]
부실 운용과 불완전 판매 논란을 빚었던 디스커버리 펀드에선 펀드 돌려막기와 직원들의 미공개 정보 이용이 있었다고 금감원은 밝혔습니다.
금감원이 전 정권 특혜 의혹이 불거졌던 '3대 펀드' 사건을 정조준하면서 향후 정치적 파장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옵니다.
KBS 뉴스 손서영입니다.
촬영기자:김승욱/영상편집:박은주/그래픽:강민수 김성일
라임과 옵티머스, 디스커버리 자산운용 등 투자자들에게 큰 피해를 준 '펀드 사기 사건'들을 금융감독원이 다시 검사해 결과를 내놨습니다.
그러면서 유력인사에게만 특혜로 돈을 빼줬다고 밝혔는데, 당사자로 지목된 국회의원은 사실이 아니라고 반발했습니다.
손서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금융감독원은 2019년 라임 사태 점검 결과를 발표하면서 비정상적인 펀드 설계와 운용 방식 등을 주로 지적했습니다.
3년 만에 나온 재검사 결과는 자금흐름과 그 사용처에 집중됐습니다.
일반 투자자는 돈을 못 찾아가던 시기에 농협중앙회, 상장회사 다선 국회의원 등 유력 인사에 대한 '특혜성 환매'가 있었다는 게 금감원 조사 결과입니다.
[함용일/금융감독원 부원장 : "다른 펀드 자금 125억 원과 운용사 고유 자금 등을 이용하여 일부 투자자들에게 특혜성 환매를 해줌으로써 네 개 펀드 투자자의 손실을 다른 펀드 투자자에게 전가하였습니다."]
의혹의 당사자로 지목된 민주당 김상희 의원은 "거래 증권사에 자산을 맡기고 수천만 원 상당의 손해를 봤을 뿐 특혜 환매를 한 적이 없다"며 강하게 반박했습니다.
금감원은 또 라임 펀드 투자처였던 5개 회사가 해외리조트 인수에 자금을 유용하는 등 2천억 원 규모의 횡령 혐의도 적발했습니다.
금감원은 횡령 자금이 정상적이지 않은 다른 곳으로 흘러간 것 같다고 검찰에 통보했다면서도, 사용처 관련 부분은 수사의 영역이라고 선을 그었습니다.
옵티머스의 경우 투자 유치와 관련해 금품 수수와 횡령 혐의는 물론 전직 임원이 투자자를 속이고 부정 거래를 공모한 사실도 밝혀졌습니다.
[함용일/금융감독원 부원장 : "투자자를 기망하여 펀드 자금을 모집한다는 사실을 알고 있었음에도 (펀드 자금을) 비상장사 사모사채에 투자하도록 운용 지시를 하고..."]
부실 운용과 불완전 판매 논란을 빚었던 디스커버리 펀드에선 펀드 돌려막기와 직원들의 미공개 정보 이용이 있었다고 금감원은 밝혔습니다.
금감원이 전 정권 특혜 의혹이 불거졌던 '3대 펀드' 사건을 정조준하면서 향후 정치적 파장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옵니다.
KBS 뉴스 손서영입니다.
촬영기자:김승욱/영상편집:박은주/그래픽:강민수 김성일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라임 사태’ 새 국면?…“국회의원 등 유력인사에 특혜성 환매”
-
- 입력 2023-08-24 21:51:55
- 수정2023-08-25 10:28:15

[앵커]
라임과 옵티머스, 디스커버리 자산운용 등 투자자들에게 큰 피해를 준 '펀드 사기 사건'들을 금융감독원이 다시 검사해 결과를 내놨습니다.
그러면서 유력인사에게만 특혜로 돈을 빼줬다고 밝혔는데, 당사자로 지목된 국회의원은 사실이 아니라고 반발했습니다.
손서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금융감독원은 2019년 라임 사태 점검 결과를 발표하면서 비정상적인 펀드 설계와 운용 방식 등을 주로 지적했습니다.
3년 만에 나온 재검사 결과는 자금흐름과 그 사용처에 집중됐습니다.
일반 투자자는 돈을 못 찾아가던 시기에 농협중앙회, 상장회사 다선 국회의원 등 유력 인사에 대한 '특혜성 환매'가 있었다는 게 금감원 조사 결과입니다.
[함용일/금융감독원 부원장 : "다른 펀드 자금 125억 원과 운용사 고유 자금 등을 이용하여 일부 투자자들에게 특혜성 환매를 해줌으로써 네 개 펀드 투자자의 손실을 다른 펀드 투자자에게 전가하였습니다."]
의혹의 당사자로 지목된 민주당 김상희 의원은 "거래 증권사에 자산을 맡기고 수천만 원 상당의 손해를 봤을 뿐 특혜 환매를 한 적이 없다"며 강하게 반박했습니다.
금감원은 또 라임 펀드 투자처였던 5개 회사가 해외리조트 인수에 자금을 유용하는 등 2천억 원 규모의 횡령 혐의도 적발했습니다.
금감원은 횡령 자금이 정상적이지 않은 다른 곳으로 흘러간 것 같다고 검찰에 통보했다면서도, 사용처 관련 부분은 수사의 영역이라고 선을 그었습니다.
옵티머스의 경우 투자 유치와 관련해 금품 수수와 횡령 혐의는 물론 전직 임원이 투자자를 속이고 부정 거래를 공모한 사실도 밝혀졌습니다.
[함용일/금융감독원 부원장 : "투자자를 기망하여 펀드 자금을 모집한다는 사실을 알고 있었음에도 (펀드 자금을) 비상장사 사모사채에 투자하도록 운용 지시를 하고..."]
부실 운용과 불완전 판매 논란을 빚었던 디스커버리 펀드에선 펀드 돌려막기와 직원들의 미공개 정보 이용이 있었다고 금감원은 밝혔습니다.
금감원이 전 정권 특혜 의혹이 불거졌던 '3대 펀드' 사건을 정조준하면서 향후 정치적 파장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옵니다.
KBS 뉴스 손서영입니다.
촬영기자:김승욱/영상편집:박은주/그래픽:강민수 김성일
라임과 옵티머스, 디스커버리 자산운용 등 투자자들에게 큰 피해를 준 '펀드 사기 사건'들을 금융감독원이 다시 검사해 결과를 내놨습니다.
그러면서 유력인사에게만 특혜로 돈을 빼줬다고 밝혔는데, 당사자로 지목된 국회의원은 사실이 아니라고 반발했습니다.
손서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금융감독원은 2019년 라임 사태 점검 결과를 발표하면서 비정상적인 펀드 설계와 운용 방식 등을 주로 지적했습니다.
3년 만에 나온 재검사 결과는 자금흐름과 그 사용처에 집중됐습니다.
일반 투자자는 돈을 못 찾아가던 시기에 농협중앙회, 상장회사 다선 국회의원 등 유력 인사에 대한 '특혜성 환매'가 있었다는 게 금감원 조사 결과입니다.
[함용일/금융감독원 부원장 : "다른 펀드 자금 125억 원과 운용사 고유 자금 등을 이용하여 일부 투자자들에게 특혜성 환매를 해줌으로써 네 개 펀드 투자자의 손실을 다른 펀드 투자자에게 전가하였습니다."]
의혹의 당사자로 지목된 민주당 김상희 의원은 "거래 증권사에 자산을 맡기고 수천만 원 상당의 손해를 봤을 뿐 특혜 환매를 한 적이 없다"며 강하게 반박했습니다.
금감원은 또 라임 펀드 투자처였던 5개 회사가 해외리조트 인수에 자금을 유용하는 등 2천억 원 규모의 횡령 혐의도 적발했습니다.
금감원은 횡령 자금이 정상적이지 않은 다른 곳으로 흘러간 것 같다고 검찰에 통보했다면서도, 사용처 관련 부분은 수사의 영역이라고 선을 그었습니다.
옵티머스의 경우 투자 유치와 관련해 금품 수수와 횡령 혐의는 물론 전직 임원이 투자자를 속이고 부정 거래를 공모한 사실도 밝혀졌습니다.
[함용일/금융감독원 부원장 : "투자자를 기망하여 펀드 자금을 모집한다는 사실을 알고 있었음에도 (펀드 자금을) 비상장사 사모사채에 투자하도록 운용 지시를 하고..."]
부실 운용과 불완전 판매 논란을 빚었던 디스커버리 펀드에선 펀드 돌려막기와 직원들의 미공개 정보 이용이 있었다고 금감원은 밝혔습니다.
금감원이 전 정권 특혜 의혹이 불거졌던 '3대 펀드' 사건을 정조준하면서 향후 정치적 파장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옵니다.
KBS 뉴스 손서영입니다.
촬영기자:김승욱/영상편집:박은주/그래픽:강민수 김성일
-
-
손서영 기자 bellesy@kbs.co.kr
손서영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