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해설] 입학사정관제, 철저히 준비해야 성공

입력 2009.03.11 (07:02)

수정 2009.03.11 (07:11)

[이정옥 해설위원]

대학입시에서 학생의 잠재력과 전문성, 재능, 경험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해 학생을 선발하는 입학사정관제가 내년도 입시의 최대 관심사로 떠올랐습니다.
카이스트가 정원의 약 15%내외인 150명을, 포항공대는 300명 학생 전원을 입학사정관제도로 선발하겠다고 발표했으며 이어 성균관대도 입시생의 약 17%를 이 제도로 뽑겠다고 밝히는 등 내년도 입시에서 입학사정관제를 도입하는 대학이 늘 것으로 보입니다.
교육과학기술부는 입학사정관 제도를 도입한 대학들 가운데 10여 개 대학을 뽑아 한 대학에 많게는 30억 원까지 지원하겠다는 파격적인 제안을 했습니다. 교과부는 입학사정관제가 확산되면 공교육이 살아나고 사교육이 줄어 들 것이라는 기대로 이 제도를 단기간에 정착시키기 위해 적잖은 예산을 배정한 것입니다. 예산을 따내려는 대학들은 앞다투어 입학 사정관제 선발을 늘릴 것입니다.
문제는 현장입니다. 우선 입학사정관 제도의 당사자인 학생과 학부모, 그리고 교사들의 이해가 충분한지 의문입니다.
고등학교 교사들 가운데 이 제도의 개념이나마 이해하고 있는 교사는 진학지도 교사 몇몇에 불과합니다. 또 이 제도가 실시된 지 2년이 되도록 교육 당국의 홍보나 연수가 전혀 없었다고 교사들은 토로합니다.
이런 상황에서 과연 교사들이 학생들에게 입학사정관제로 대학을 가려면 무엇을 준비해야 하는지 지도해 줄 수 있겠습니까?
예를 들면 백두대간을 답사한 경험이 있는 학생은 입학사정관제를 통해 지리학과를 지원 수 있을 것이고, 혹은 자신이 재능이 있거나 관심 있는 분야에 대한 체계적인 자료를 준비해 도전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이런 준비들은 고등학교 1학년 때부터 차근차근 준비해야 합니다. 그러려면 진학지도 교사뿐 아니라 모든 교사들이 이 제도에 대한 인식이 잘 되어 있어야 함은 두말할 것도 없습니다.
학교 공교육이 해결해주지 못하면 학생들은 또 이른바 입학사정관제 컨설팅 업체를 찾아갈 지도 모릅니다.
제도를 성공적으로 정착시키려면 먼저 공교육 현장의 교사들을 이해시키고 준비시켰어야 합니다.
입학사정관은 경험과 전문성, 그리고 무엇보다 도덕성을 갖춰야 합니다. 해당 고등학교 교육의 특성을 잘 파악해 올바른 평가를 내릴 수 있어야 합니다. 이번에 당국이 제시한 석달 동안의 입학사정관 양성 과정이 이런 점들을 모두 아우를 수 있는지도 면밀히 짚어봐야 합니다.
약 90년 전에 입학사정관제도를 도입한 미국 대학들도 수십 년 동안의 시행착오를 거친 뒤에야 이 제도가 정착됐습니다. 늦었지만 지금부터라도 철저한 연구와 준비를 당부합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