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경기도, ‘기피시설’ 갈등

입력 2009.06.15 (07:22)

<앵커 멘트>

쓰레기 처리장이나 화장장, 분뇨처리장 등 이른바 주민‘기피시설’로 서울시와 경기도가 갈등을 빚고 있습니다.

서울시 소유의 기피시설들 상당수가 경기도 땅에 있어서 입니다.

박현 기자입니다.

<리포트>

부감 서울 종로구 등 7개 구에서 하루에 배출되는 하수 백 오십만 톤을 처리하고 있는 서울시 난지 물 재생센터입니다.

하지만 이 센터는 서울이 아닌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에 들어서 있습니다.

서울 강남구 등 9개 구에서 나오는 분뇨를 싣고 하루 평균 3백 대 가량의 차량들이 드나들고, 하루 200톤 가량 쏟아지는 서대문구의 음식물 쓰레기가 처리됩니다.

재활용 폐기물 분리 시설은 서울 마포구 소유입니다.

경기도 고양에 있는 이 치매 전문 요양원도 서울 성북구 주민들을 위한 시설, 경기도 연천의 음식물 처리장에서도 서울시 6개 구의 음식물을 처리합니다.

경기도 땅에 들어서 있는 서울시의 이른바 '주민기피시설'은 정신병원이나 노인 요양시설 등 수용시설 28곳을 포함해 모두 44곳입니다.

<인터뷰> 정문식(경기도의회 의원) : “서울 시민들이 자기네 동네에서 하기 싫기 때문에 경기도에 위치하고 있거든요. 그럼 이런 시설들로 인해 고통받고 행복하지 않다고 느끼는 경기도민들한테 그 분들이 원하는 시설도 같이 해줘야 하는거고..”

하지만 문제 해결은 쉽지 않아 보입니다.

<인터뷰> 최진석(경기도청 자원순환 과장) : “뭘 했냐고 구체적으로 물어보신다면 답변드릴 사항이 아니라니까요. (왜죠? 하신게 없어서 답변 못 한다는거 아닙니까?) 아니에요 그런게 아니에요 우리도 내부적으로 이 현황을 파악해 봤고..”

<녹취> 서울시 환경시설 관계자 : “시 차원에서 정리가 돼서 저희들한테 협조 요청하는 경우가 아니라 정리가 안 되어있고..”

주민 기피시설을 둘러 싼 자치단체 간 갈등 속에 고통은 온전히 주민들의 몫일 뿐입니다.

<인터뷰> 이양근(고양시 난점마을 주민) : “밤에는 (분뇨를) 더 갖다 버리는지 몰라도 밤에는 마스크 안하면 못 살아..”

<인터뷰> 윤용중(주민) : “탄원도 하고 저기 가서 그 전엔 데모도 하고 그랬는데 하나 시정도 안되고 그냥 그대로 하잖아”

KBS 뉴스 박현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KBS 뉴스 이미지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