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멘트>
정부의 4대 강 살리기사업에서 지역 건설업체들이 소외되면서 강하게 반발하고 있습니다.
정부가 턴키방식이나 '최저가 낙찰제'를 적용하면서 규모가 작은 지역 건설업체가 참여하기가 어렵기 때문입니다.
함영구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청주의 이 건설업체는 계속된 경기 불황으로 올 상반기 공사 수주 물량이 지난해 절반 수준에 그쳤습니다.
이 때문에 정부의 '4대 강 살리기사업' 공사 참여가 절박할 수 밖에 없습니다..
<녹취> 건설업체 관계자 : "4대 강 사업에 참여하지 못하면, 회사가 굉장히 어렵게 되고,회사가 문을 닫아야 하는 최악의 상황입니다."
지역의 다른 중소 건설업체들도 사정은 마찬가지입니다.
올해 상반기 충북지역 건설업체 600여 곳 가운데 절반 이상이 공공 공사 물량을 단 1 건도 수주하지 못했습니다.
그 만큼 4대 강 사업에 거는 기대가 큰 상황입니다.
하지만,정부에서 4대 강 사업 대부분 공사에 대규모 '턴키 방식'과 '최저가 낙찰제'를 도입하겠다고 밝히면서 참여 자체가 사실상 어렵게 됐습니다.
지역의 중.소 건설업체는 수주 실적이나 자금 동원 면에서 대기업에 비해 불리할 수 밖에 없기때문입니다.
지역 건설업체들은 강하게 반발하며,정부와 청와대에 탄원서까지 제출했습니다.
<인터뷰> 권영욱(대한건설협회 충북도회 사무처장) : "공사 구간을 최대한 분할발주 해서 지역 업체가 참여할 수 있는 길을 만들어 달라는 의미가 있습니다."
4대 강 사업과 관련한 충북지역 사업비는 모두 2조 3천억 원 규모.
지역 건설업체들은 정부가 밝힌 방식으로 공사가 발주되면, 이 가운데 채 절반도 참여하지 못할 것이라며 정부의 대책 마련을 촉구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함영구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