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해설] 이공계 인력 육성책 시급

입력 2010.12.29 (07:25)

수정 2010.12.29 (07:30)

[정태명 객원 해설위원]



“교육 방정식을 바꾸자“. 미국의 오바마 대통령이 과학, 공학, 기술, 수학을 중심으로 한 교육 개혁 의지를 천명하면서 내세운 슬로건입니다. 미국 기업의 CEO 들도 ”글로벌 1위를 위해 필요한 것은 행정과 경영을 하는 관리인이 아니라 창의적인 공학 인재“ 라고 말하고 이공계 인재 육성에 적극 참여하고 있습니다.



그에 반해, 우리나라는 올해 서울대 공과대학 박사과정이 3년째 미달되는 초유의 사태를 빚고 있습니다. 심지어는 재학생마저도 이공계를 떠나 의대나 약대로 옮기는 예가 허다하지만, 정부도, 기술로 성장한 대기업마저도 수수방관하고 있습니다.



이공계 육성을 위해 정부는 이공계 공직을 확대하고, 과학기술인의 처우를 개선하겠다는 의지를 표명한 바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정책들이 단순한 미봉책에 불과했다는 것이 이번 서울공대 미달사태로 다시 한번 여실히 드러났습니다. 좀 더 근본적이고 실질적인 대책이 필요합니다.



우선, 과학 기술에 대한 인식의 전환이 필요합니다. 과학기술인이 받는 대우와 사회적 위치는 일반적인 생각보다 월등하고, 삼성의 이공계 임원이 절반이 넘는다는 예를 들지 않더라도 사회적 성공의 예는 얼마든지 찾을 수 있습니다.



초중고등학교에 실습 위주의 과학 기술 교육을 통해 청소년들의 흥미와 관심을 유발 시켜야 합니다. 과학캠프를 통해 모든 학생이 과학 기술을 접할 기회를 제공받아야 합니다. 또한 연구개발 예산을 확대하고 관리직으로 전환하지 않고도, 전문 연구 인력으로 대우받으며 은퇴할 수 있도록 환경이 조성되어야 합니다. 연구개발자의 안정적인 연구환경은 우수한 결과를 낳는 토양이기 때문입니다.



실제로 한강의 기적을 이룩한 배후에는 전자 현미경을 들여다보며 반도체를 설계하고, 자동차 용접 기술을 개선하기 위해 밤을 새우고 땀을 흘리던 기술인들이 있었습니다. 수출 선박에 실리는 대부분의 공산품이 이들의 땀과 노력이 거름이 되어 만들어졌다 해도 과언이 아닐 것입니다.



이공계 육성 정책은 장기적인 안목에서 국가의 생존 전략이며, 단기적으로는 부강한 국가의 초석을 마련하는 길입니다. 지금은 이공계 기피 현상이 서울대 공대 미달이라는 단순한 사건이지만, 이대로 방치하면 우리나라가, 기술 수준 미달이라는 사태를 초래할 것입니다. 정부도 대기업도 이공계 육성의 실패로 인한 역사의 평가를 두려워할 때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