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멘트>
경북 구미의 염소가스 누출사고 당시 CCTV 화면이 공개됐습니다.
되풀이되는 유해화학물질 유출 사고에 불안감도 깊어지고 있는데요, 대책은 없는 것인지 취재기자와 알아보겠습니다.
이광열 기자 나와 있습니다.
이 기자.
<질문> 어제 누출 사고는 구미에서만 세 번째, 경북에서는 벌써 네 번째인데, 현장 주민들도 많이 불안해 하고 있죠?
<답변>
네, 당초 어제는 병원 치료를 받은 사람이 열명 남짓이었는데, 두통과 어지럼증을 호소하면서 병원 진단을 받은 사람의 수가 200여 명에 달하고 있습니다.
어제 염소가스 누출 사고 현장의 CCTV입니다.
사무실에 있던 직원들이 황급히 밖으로 뛰어나오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당시 얼마나 긴박했는지 알 수 있습니다.
잇따르는 유해화학물질 유출 사고에 구미 산업단지 주변 주민들은 불안감을 떨치지 못하고 있습니다.
말씀을 들어보시죠.
<인터뷰> 안미숙(경북 구미시 공단동): "공단관리자 분들은 안전 관리를 잘 하셔서 다시는 이런 일이 없도록..."
<질문> 지난 1월 이 시간에도 이광열 기자가 나와서 청주 불산용액 누출 사고 소식을 전했었는데, 또 비슷한 질문을 하게 되네요. 되풀이되는 사고 어디에 원인이 있습니까?
<답변>
네, 저도 지난번에 원점에서 종합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문했었는데 계속해서 사고가 이어져 곤혹스럽네요.
지난해 9월 구미 불산 유출 사고 이후 6차례 이어지는 사고들을 보면 중복되는 원인들이 있습니다.
먼저 시설 불량입니다.
파이프 밸브나 연결 부위 등이 부식되거나 깨지면서 혹은 환기시설이 고장나면서 사고가 났습니다.
늑장신고도 문제였는데요,
신속한 신고로 초동 대처를 잘 해야 피해 확산을 막을 수 있는데, 업체들이 사업장 안에서 자체 해결하려다가 도리어 화를 키웠습니다.
삼성전자 화성공장은 26시간이나, 구미 LG 실트론도 16시간이 지나서야 관계기관에 신고했습니다.
업체마다 예방 인력 확보에 인색한 점도 문제였습니다.
사고 사업장 가운데는 유독물 관리자가 아예 없는 곳도 있었고, 유독물 관리자가 있더라도 다른 업무를 병행하고 있어서 유독물 관리에 전념하기 어렵습니다.
그만큼 철저한 유독물 관리에는 구멍이 생기는 셈입니다.
<질문> 그렇다면 대책 역시 그런 문제들을 보완하는 쪽으로 마련해야겠군요?
<답변>
그렇습니다.
유해화학물질 시설물은 매년 정기점검을 받도록 돼 있는데 서류확인이나 육안 검사에 머물러 있는 점검 방식을 좀더 실질적인 방법으로 바꿀 필요가 있습니다.
산업안전보건법상 인명피해가 없으면 신고하지 않아도 되는 조항도 사고 즉시 신고해 조치를 받도록 개정할 필요성이 있습니다.
각 사업장에서는 유독물 관리자가 유해화학물질 관리에 전담할 수 있게 해 철두철미한 안전 관리를 해야 합니다.
<질문> 정부도 오늘 다시 종합대책안을 내놨죠? 이번엔 좀 더 구체적이고 즉각적인 대책을 내놨군요.
<답변>
네, 우선 국민 불안이 커지는 만큼, 유해화학물질을 취급하는 전국의 모든 사업장에 대해 점검에 나서기로 했습니다.
또 등록제로 운영되고 있는 유해화학물질 영업을 허가제로 바꾸고 불시 점검도 하기로 했습니다.
법규 위반 업체에게 일률적으로 부과하던 소액의 과징금을 매출액에 대비해 부과하기로 해서 솜방망이 처벌을 개선하기로 했습니다.
이번에는 정부의 대책이 실효성을 거둘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