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년 만에 문 닫는 평창 시외버스터미널…주민들 ‘발동동’

입력 2023.07.25 (17:19)

수정 2023.07.25 (18:31)

[앵커]

반세기 가깝게 마을과 다른 도시를 이어주던 강원도 평창의 한 시외버스터미널이 문을 닫을 위기에 놓였습니다.

사업자가 경영난으로 운영을 포기하겠다고 밝힌 건데요.

주민들은 아쉬움과 걱정을 호소하고 있습니다.

이현기 기자입니다.

[리포트]

1976년 문을 연 강원도 평창 시외버스터미널입니다.

의자 귀퉁이가 깨져 있고, 노선 안내 종이는 누렇게 돼 있는 등, 좁다란 대합실 곳곳에 세월의 흔적이 고스란히 남아 있습니다.

50년 가까이 주민들의 사랑방 노릇을 해온 곳인데, 곧 문을 닫을 위기에 놓였습니다.

경영난 때문입니다.

[박호섭/평창군 교통행정팀장 : "매표 수수료로 인건비 감당도 안 되는 상황에서 터미널 사업자에게 계속적으로 사업을 지속하라고 요구하기는 어려울 것 같습니다."]

2015년만 해도 하루 46차례 운행하던 시외 여객운송은 지금은 절반 이하로 줄었습니다.

이용객도 2018년 66,000여 명에서 지난해 22,000여 명으로 3분의 1 토막이 됐습니다.

평창군은 터미널 폐쇄 여부를 다음달 확정할 계획인데, 현재로선 다른 곳에 간이 정류소를 꾸리는 방안이 유력합니다.

[김복연/평창군 방림면 : "안 되죠. 노인들이 전부 이용하는데, 다른 데로 옮기면 안 되죠. 가기가 불편하죠, 노인들이."]

마을 주민들은 조작이 낯선 무인판매장치로 표를 사는 건 물론이고, 결국 버스 노선이 줄어들 것을 걱정합니다.

실제로 지난해 평창 대화 터미널이 경영난으로 매표 업무를 중단했는데, 매표소가 없어 현금을 내야 버스를 탈 수 있습니다.

평창군 내 시외버스터미널은 모두 5곳, 한때 관광객과 주민들로 붐비던 곳이 이제는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질 위기에 놓였습니다.

KBS 뉴스 이현기입니다.

촬영기자:최중호/영상편집:김진호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KBS 뉴스 이미지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