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사들도 집단 휴진 비판…“벼랑 끝 환자 등 떠미는 행위”

입력 2024.06.17 (11:58)

수정 2024.06.17 (12:01)

KBS 뉴스 이미지
서울의대 교수 등 의사들의 집단휴진 강행에 인도주의실천의사협의회가 의료계와 정부를 비판했습니다.

인도주의실천의사협의회는 오늘(17일) 성명을 내고 “의대 교수들의 진료 중단은 벼랑 끝에 놓인 환자들의 등을 떠미는 행위가 될 수 있다”며 “일부 의대 교수들의 휴진 등 진료 중단, 그리고 그러한 언사를 투쟁 수단으로 삼아 지금도 고통 속에 있는 환자와 시민을 불안하게 하는 모든 행위에 반대한다”고 밝혔습니다.

인의협은 “시민들이 의대 교수들에게 바라는 것은 지금 그들이 목표로 내세우고 있는 ‘전공의 지키기’나 진료중단이 아니라 심각한 의료공백 상황을 정상화시키기 위한 역할을 다하는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그러면서 “대학병원 교수들의 이번 휴진이 장차 의사와 환자 및 시민 간의 신뢰 관계에 미칠 악영향”이 심각하게 우려된다고 했습니다.

의협을 향해서는 “처음부터 지금까지 의사증원은 1명도 안 된다는 주장만을 되풀이하며 현재 상황 해결에 전혀 도움을 주지 못했다”고 지적했습니다.

이어 “대안 없이 ‘의대 증원 전면 백지화’ 및 ‘원점 재논의’를 다시 요구하며 벌이는 18일 집단 휴진도 현재 상황 해결에는 전혀 도움이 되지 못한 채 환자들의 불편과 고통만 더 크게 할 것”이라고 비판했습니다.

인의협은 “윤석열 정부는 의료대란은 없다는 말만 계속하고 있을 뿐 실제로 이 상황을 책임지고 해결할 수 있는 아무런 조치도 취하지 않았다”며, 집단휴진 사태에도 별다른 해결책을 내놓지 못하고 있는 정부를 비판했습니다.

이어 “윤석열 정부가 현 상황을 해결할 책임이 있음을 분명히 한다”며 “현재 극한으로 치닫고 있는 의정대립 상황을 해결하기 위한 보다 진지한 해결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이들은 “의사 증원이 필요하지만, 윤석열 정부의 시장주의적 2천 명 의사 증원 방안에 반대한다”며 “공공적인 의료체계로의 전환을 위해 의사들의 공공적인 양성, 지역의사제와 공공의사제 도입 등 정부의 적극적인 공적 개입이 필요하다”고 제안했습니다.

또 “의사인력 정책 결정 권한은 우리 사회 구성원 모두의 몫”이라며 “의료개혁특위를 해체하고 시민사회, 건강보험 가입자 대표를 주체로 포괄하는 논의기구를 통해 진정한 의료개혁을 논의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KBS 뉴스 이미지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