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러시아에 포탄 백만 발 이상 전달”…트럼프 참모 “미군주둔비 올려야”

입력 2024.06.24 (06:04)

수정 2024.06.24 (06:32)

[앵커]

지난해 하반기부터 북한이 러시아에 백만 발이 넘는 포탄을 제공했다는 분석이 나왔습니다.

이처럼 북한과 러시아의 군사적 밀착이 심화하는 가운데 미국에서는 주한미군의 주둔 비용을 한국이 더 부담해야 한다는 주장이 또다시 제기됐습니다.

워싱턴 조혜진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북한이 지난해 8월부터 올해 1월까지 러시아에 7만 4천 톤 이상의 폭발물을 보냈다고 미 일간 워싱턴포스트가 보도했습니다.

신문은 미국 비영리 싱크탱크 선진국방연구센터가 러시아 내부 교역 자료와 위성 사진 등을 분석한 결과, 이 폭발물은 러시아 서부 국경 인근 16곳에 보급됐다고 전했습니다.

이 중 12곳은 탄약 저장 시설 근처로, 운반된 폭발물은 탄약으로 보인다고 워싱턴포스트는 설명했습니다.

이는 러시아가 우크라이나전에서 사용하는 포탄의 유형을 고려할 때 약 160만 발 규모입니다.

또다른 영국 싱크탱크인 왕립합동군사연구소 역시 북한 나진항과 러시아 보스토치니항, 두나이항 사이 내용물이 알려지지 않은 27건의 수송이 이뤄진 것으로 추정했습니다.

실제로 러시아 남서부의 한 군사기지에는 한 달 사이 수십 개의 컨테이너가 들어선 모습이 위성사진에 포착되기도 했다고 워싱턴포스트는 전했습니다.

이러한 가운데 한국이 미군 주둔 비용 분담액을 포함한 국방 비용 지출을 늘릴 필요가 있다는 주장이 트럼프 측에서 또다시 나왔습니다.

트럼프 행정부에서 국가안보보좌관을 지낸 로버트 오브라이언 전 보좌관은 미국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동맹국들이 지금 부담하는 미군 주둔 비용은 비용의 일부인데 충분하지 않다고 주장했습니다.

[로버트 오브라이언/전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 : "미국 납세자들은 엄청난 부담을 떠안았습니다. 미국 국내에도 막대한 연방 재정 적자, 인플레이션 등 여러 부담이 있습니다. 따라서 동맹국들이 나서야 합니다."]

미국은 국내총생산의 4%를 국방비로 지출한다며 동맹국들도 책임을 지고 미국과 같은 방식으로 참여하길 원한다고 밝혔습니다.

또 가족 같은 동맹국에게도 때로는 엄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오브라이언 전 보좌관은 트럼프 재집권 시 국가안보보좌관이나 국방장관 등 후보로 거론되는 인물입니다.

워싱턴에서 KBS 뉴스 조혜진입니다.

영상편집:김인수/그래픽:서수민/자료조사:김나영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KBS 뉴스 이미지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