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해파리떼가 피서철 최고 골칫거리가 됐습니다.
치워도 치워도 끝이 없어 물놀이를 하기 어려울 정도로 밀려 들고 있습니다.
보도에 조희수 기자입니다.
[리포트]
바닷물 위에 물감을 점찍은 듯 하얀 점들이 둥둥 떠 다닙니다.
방지막에도 연분홍색 물체가 잔뜩 들러붙었습니다.
모두 해수욕장의 골칫거리, 노무라입깃해파리입니다.
해파리떼가 해수욕장을 사실상 점령한 상태라 조금만 방심했다간 해파리에 쏘이기 일숩니다.
피서객은 물론, 안전요원도 예외가 아닙니다.
[해수욕장 피서객 : "저희 아들이 해파리한테 쏘여가지고요. 응급처리를 받고, 못 놀고 구경만 하고 있습니다."]
[이찬민/울산 일산해수욕장 안전요원 : "수포 형태로 두드러기가 나타나서… 가려움증이나 바늘로 찌르는 듯한 통증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해파리떼를 막기 위해 온갖 방법을 동원해 보지만 역부족입니다.
해파리 출몰 때문에 먼바다엔 노란색 방지막을 치고, 가까운 바다에서만 놀 수 있도록 주황색 제한선을 쳐둔 모습입니다.
방지막을 넘어오는 해파리를 뜰채로 치워도 치워도 끝이 없습니다.
[황수정/울산 일산해수욕장 안전요원 : "총 4회를 작업하고 있고 그물망을 설치했고 최선을 다 해 작업을 하고 있지만 발생량이 많은 건 사실입니다."]
지난 일주일 간 울산의 노무라입깃해파리 출현율은 100%.
모든 피서객이 해파리를 봤다는 것으로 전국에서 가장 높습니다.
[김경연/국립수산과학원 연구사 : "중국이 기원지다 보니 제대로 된 환경 조사가 힘들어서 이 해파리 증가에 대한 정확한 원인을 파악하기가 어려워서 그에 따른 대처도 조금 힘든 것 같습니다."]
치워도 치워도 끝이 없지만 그래도 지금으로서는 치우는 것외에 뾰족한 해법은 없습니다.
전문가들은 만약 물놀이를 하다가 따끔한 느낌이 들면 즉시 물놀이를 멈추고, 깨끗한 식염수로 세척해야 한다고 강조합니다.
KBS 뉴스 조희수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