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지 않는 바다…흔들리는 어장

입력 2024.11.17 (21:28)

수정 2024.11.18 (02:24)

[앵커]

요즘 수산물 가격도 부쩍 올랐죠.

지난 여름 뜨거워진 바다가 식지 않아 양식업장들의 피해가 컸기 때문입니다.

이젠 고수온에 견딜 수 있는 대체 어종을 찾는 게 우리 어민들에게 중요한 과제가 됐습니다.

이규명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충남 서산의 갯벌.

바지락 수확철이지만 죽은 바지락 껍데기만 널려있습니다.

[장선순/충남 서산시 오지리 어촌계장 : "갯벌이 다 썩었다고 봐도 과언이 아닌데 바다의 온도가 뜨거우면 이 생물이 죽는구나."]

바다 수온 상승의 피해를 입은 바지락 양식장 규모는 인근 5개 시군에서만 축구장 3,200개 면적에 달합니다.

경남 통영의 가두리 양식장.

2년 동안 키운 우럭의 70%가 폐사했습니다.

수온이 낮았던 바다 저층까지 28도 넘는 수온이 두 달 넘게 이어졌기 때문입니다.

[김수환/가두리 양식 어민 : "올해는 특이하게 표층이랑 저층이랑 수온이 똑같았어요. 그물을 아무리 깊이 줘도 밑에도 31도 위에도 31도니까 이게 고기가 다 죽은 것 같아요."]

강원도 삼척 앞바다, 20여 미터 아래로 들어가 봤습니다.

제주 바다에서나 보이던 파랑돔과 벤자리, 금줄 얼게비늘 유어도 보입니다.

모두 동해에서는 볼 수 없었던 어종입니다.

[김병직/환경부 국립생물자원관 연구관 : "아열대성 어종들이 좀 보이기 시작했습니다. 대표적인 게 아열대성 어종인 자리돔 유어와 성어가 보였다는 게 조금 주목할 만했었고요."]

높아진 바다 온도에 맞춰 아열대 어종 양식을 연구하는 곳도 늘고 있습니다.

경상남도 수산자원연구소는 경남의 어민들과 함께 아열대 어종 벤자리를 키우고 있습니다.

[김수환/가두리 양식 어민 : "수온이 오름에 따라서 저희가 변해야죠. 저희가 변해서 맞는 물고기를 찾아야죠."]

[김기태/국립수산과학원 남동해연구소 : "수온에 강한 아열대성 어종을 찾아서 국내 환경에 적합하게 맞게끔 대체 품종을 찾아야 하는 게 가장 급선무인 것 같습니다."]

급변하는 바다 환경에 맞는 대체 어종 양식과 보급이 시급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KBS 뉴스 이규명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KBS 뉴스 이미지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