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를 둘러싼 의문점, 하나씩 짚어보겠습니다.
스튜디오에 김규왕 한서대 항공운항과 교수님 나와 계십니다.
앞서 황경주 기자 리포트에서 보셨지만 착륙 허가부터 충돌까지 불과 9분 걸렸습니다.
사고 원인을 파악하는 데 가장 눈여겨 봐야할 시간대는 어디라고 생각하십니까?
[앵커]
착륙 접지 지점이 활주로 초입이 아닌 1,200미터가 지난 3분의 1 지점입니다.
이건 어떤 이유이고, 만약 초입이었다면 피해가 줄었을까요?
[앵커]
지금부턴 사고 원인과 관련한 의문점 하나씩 짚어보겠습니다.
첫 번째 의문점, '로컬라이저 둔덕'입니다.
여객기가 1차 충돌한 구조물인데 교수님께서도 이게 사고를 키웠다고 보십니까?
그리고 규정위반이라고 판단하십니까?
[앵커]
두 번째 의문점은 '동체착륙 후 왜 감속 못했나?'입니다.
제동장치는 렌딩기어 외에도 몇가지가 더 있는데 모두 작동하지 않았습니다.
어떤 상황이라고 생각하십니까?
[앵커]
마지막 의문은 '조류 충돌로 랜딩기어 미작동?'입니다.
엔진이 새와 충돌했다고 랜딩기어까지 '작동 불능' 상태가 될 수 있습니까?
[앵커]
사고 여객기는 직전 48시간동안 13차례나 운항 했다고 합니다.
그리고 월 평균 여객기 운항시간을 보면 제주항공이 418시간으로 가장 깁니다.
이런 무리한 운항이 사고와 관련이 있을까요?
[앵커]
무안국제공항이 적절하게 대처했는지 이 부분도 조사가 필요한데요.
동체 착륙에 앞서 지상 대비가 부실했다는 지적도 있습니다.
어떻게 보시는지요?
[앵커]
오늘 말씀 여기까지 듣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