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예고했던, 중국산 상품 10% 추가 관세 부과가 시작됐습니다.
중국이 즉각 맞불 '보복 관세'를 선언하면서, 미중 무역 전쟁의 서막 아니냔 평가가 나오고 있습니다.
멕시코와 캐나다를 상대로 한 고율 관세 부과는 한 달간 유예됐습니다.
양민효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미국 현지 시각 4일 0시를 기해 중국산 모든 상품에 10%의 추가 관세 부과가 발효됐습니다.
마약류 펜타닐 문제를 비롯해 파나마 운하 통제권까지, 중국을 압박해 온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율을 더 올릴 가능성도 시사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미국 대통령 : "무슨 일이 일어날지 지켜봐야 합니다. 하지만 (추가 관세는)시작에 불과합니다. 중국과 합의를 할 수 없다면 관세는 매우 상당할 것입니다."]
중국은 즉각, 맞불 관세로 받아쳤습니다.
10일부터 원유와 농기계 등 일부 미국 상품에 10%, 석탄과 LNG엔 15% 추가 관세를 매기겠다고 선언했습니다.
세계무역기구 WTO 제소와, 구글에 대한 반독점법 위반 조사, 텅스텐 등의 자원 수출 통제까지 꺼내들었습니다.
고조되는 미중 무역 전쟁 분위기완 달리, 멕시코와 캐나다는 미국이 한 달 간 관세를 유예하기로 하면서 한숨 돌렸습니다.
펜타닐 유입과 불법 이민을 막기 위해 두 나라가 미국과 맞닿은 국경 보안을 강화해야 한다는 조건부 유옙니다.
멕시코는 국경에 만 명의 군 병력을 즉각 파견하겠다고 약속했습니다.
캐나다 역시 만 명의 요원을 배치하고 펜타닐 문제 책임자를 임명하겠다며, 약 1조 3천억 원 규모의 국경 보안 계획을 미국에 제안했습니다.
[케빈 머리트/미 증권 애널리스트 : "(관세 압박 협상이) 지금은 효과를 봤습니다. 그런데 중국처럼 더 큰 나라들에도 효과를 볼 수 있을까요? 그건 정말 다른 이야기입니다."]
AP 통신은 트럼프식 관세 부과가 발효되지 않거나 단기간에 그칠 수도 있지만, 위협만으로도 세계 시장을 불안으로 몰아넣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KBS 뉴스 양민효입니다.
영상 편집:이웅/자료조사:권애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