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비상계엄 사태 당시, 국회로 유리창을 깨고 들어갔던 특전사 707특임단장도 증인으로 나왔습니다.
당시 받은 임무는 국회 봉쇄였는데, 봉쇄란 건 적의 위협을 차단하는 거라고 설명했습니다.
또 국회의원을 끌어내란 지시는 없었다며, 말이 달라진 걸로 해석될 수 있는 증언도 했습니다.
김민철 기자입니다.
[리포트]
비상계엄 선포 직후, 헬기를 통해 국회에 투입된 특전사 707특수임무단.
김현태 707특임단장은 당시 임무는 '국회 봉쇄'라고 말했습니다.
[김현태/707특수임무단장 : "제가 지시한 내용은 국회의사당 및 의원회관을 봉쇄하여 건물을 확보하라고…."]
하지만 이 '봉쇄'의 의미는 적의 위협을 차단하는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송진호/변호사/윤 대통령 측-김현태/707특수임무단장 : "((봉쇄의 의미가) 테러리스트 등 적대적 위협 세력으로부터 국회에 진입되지 못하도록 방어하라는 그런 개념이죠.) 예 맞습니다."]
국회 유리창을 깨고 들어간 것은 출입문을 모두 잠그려는 과정에서, 정문 바깥에 사람이 많이 몰려있어 내부에서 정문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었다고 설명했습니다.
[장순욱/변호사/국회 측-김현태/707특수임무단장 : "(유리창을 깨고 그렇게 들어간 이유도 증인이 그 당시의 목표는 정문을 확보하는 게 목표였겠네요.) 그렇습니다."]
다만, 국회 건물 내부에 진입한 직후 곽종근 전 특수전사령관으로부터 "150명이 넘으면 안 된다는데"라는 말을 들었다고 전했습니다.
[김현태/707특수임무단장 : "(곽 전 사령관이) '150명이 넘으면 안 된다고 하는데 들어갈 수 없겠냐'는 식으로 부드러운 약간 사정하는 비슷한 느낌으로 이야기를 했습니다."]
김 단장은 이 '150명'이 국회의원을 의미하는진 당시엔 몰랐다고 밝혔습니다.
국회의원을 끌어내란 지시도 없었다면서, 지난해 12월 비상계엄 직후 기자회견 때와는 달라진 입장을 보였습니다.
김 단장은 당시 국회에 투입된 부대원들이 자괴감을 많이 느꼈다며, 자신이 지휘관으로 책임지겠지만 잘못을 탓한다면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에게 있다고 말했습니다.
KBS 뉴스 김민철입니다.
영상편집:송화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