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강원중도개발공사와 강원개발공사를 통합 방안이 강원도의 뜨거운 감자입니다.
'이대로 두면 중도공사 파산 위험이 크다', '오히려 통합이 동반 부실을 가져온다' 각종 우려가 쏟아집니다.
KBS는 복잡한 이 문제를 보다 쉽게, 큰 틀에서 분석해 봅니다.
먼저, 이청초 기자가 파산, 통합 등 경우의 수에 따라 돈이 얼마가 들지 따져봤습니다.
[리포트]
춘천 하중도 주변 개발을 하고 있는 강원중도개발공사.
사업을 할수록 빚더미는 눈덩이처럼 커집니다.
애초 사업 자체를 2,000억 원 넘는 빚으로 시작했습니다.
기반 공사 등에 돈을 다 쓰고도 사실상 수익은 없는 상태.
무리한 땅 판매 계약은 줄줄이 해지돼 오히려 배상을 해야 할 처지입니다.
밀린 공사비, 세금 등을 내는데 또 빚을 냈습니다.
결국 파산 위기까지 왔습니다.
강원도가 부랴부랴 방안 마련에 나섭니다.
강원도는 중도공사가 파산하면 피해가 막대하다고 우려합니다.
당장 대위변제금에 배상금까지 4,100억 원의 손실이 생깁니다.
하중도 땅까지 넘어갈 수 있습니다.
이 때문에 강원도의 선택지는 '유지하느냐, 넘기느냐' 2개로 압축됩니다.
두 경우 모두 대위변제금 2,050억 원은 다 못 받을 공산이 큽니다.
다만 땅은 유지할 수 있습니다.
차이는 강원도가 당장 얼마를 투입해야 하느냐 입니다.
중도공사를 지금처럼 유지하려면 강원도가 급한 빚 1,800억 원을 갚아줘야 합니다.
반면, 강원개발공사에 중도공사를 합치면 일단은 500억 원 출자면 된다는 게 도 설명입니다.
[정광열/강원도 경제부지사 : "정성적인 면을 제외하더라도 단순히 산수로, 숫자만 봐도 GJC(강원중도개발공사) 존속보다는 GJC 청산이 훨씬 유리한 방안이라는 것을 아실 수 있을 겁니다."]
하지만 근본적인 해결책이 아니라 눈가리고 아웅한다는 비판이 나옵니다.
강원도의 셈법 자체가 당장의 손익만을 강조해 위기 상황을 모면하려는 그 이상 그 이하도 아니라는 지적입니다.
KBS 뉴스 이청초입니다.
촬영기자:최중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