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고 김하늘 양 사건 이후 숨 가쁘게 후속 대책이 쏟아져 나오고 있습니다.
중요한 건 속도가 아니라 현장의 목소리를 충분히 반영한 실효성 있는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보도에 한솔 기자입니다.
[리포트]
교사가 휘두른 흉기에 숨진 고 김하늘 양 사건을 계기로 대전교육청이 나흘 만에 발표한 '안전한 학교 만들기 지원 대책'.
안전한 돌봄교실을 만들기 위해 현장 점검을 비롯해 복도 등 취약 공간에 CCTV 설치를 지원한다는 내용이 담겼습니다.
또 자원봉사자를 확대 배치해 학생들의 안전한 귀갓길을 조성하겠다고도 했습니다.
현장에서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습니다.
책임과 보상이 없는 자원봉사자에게 학생 안전 업무를 떠넘겨서는 안 된다는 겁니다.
[김양희/전국학교비정규직노조 대전지부장 : "교육청에서는 안전 대책으로 말하자면 자원봉사자 대책을 지금 시급하게 마련한다고 하는데 그거는 일시적인 거고요."]
늦은 시간까지 교내에 머무는 돌봄 교사와 학생을 보호하기 위해 학교 안전 경찰관과 귀가 지원 인력을 배치하는 등 현실적인 대책을 마련하라는 요구도 나왔습니다.
교원의 정신건강을 관리하고 학교 안전을 강화하는 이른바 '하늘이 법' 제정과 관련해서도 현장의 목소리를 충분히 듣는 게 우선이라는 지적입니다.
[강영미/참교육학부모회장 : "교사가 병원에 누워 있기 때문에 체포하지도 못하고 조사도 못하고 있는 상황에서, 정확한 원인 분석도 없이 졸속으로 추진하는 법안에 대해서 굉장히 우려스러운 마음이고요."]
학부모 단체들은 또 학교 현장에서 발생한 비극에 대한 설동호 대전시교육감의 공개 사과도 촉구했습니다.
이에 대해 대전시교육청은 별도의 입장을 내놓지 않은 가운데, 후속 안전 대책을 검토중이라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한솔입니다.
촬영기자:유민철·안성복/영상편집:최진석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