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울산대학교 의대는 대부분의 교육을 협력병원이 있는 서울에서 진행해 '무늬만 지방의대'라는 지적을 받아왔습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지역에도 의대생을 위한 학습 공간을 마련했지만, 정작 이곳에서 공부할 학생들이 돌아올지는 불투명합니다.
김홍희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울산대학교병원 인근에 들어선 아산의학관입니다.
HD현대중공업이 울산대에 건물을 기부하며 의대생 학습 공간으로 재탄생했습니다.
서울 아산병원이 아닌 울산에서 의대생들을 교육할 수 있는 터전이 마련된 겁니다.
앞으로 2개 학년 의대생이 건물 1~2층에 있는 강의실 등에서 교육받습니다.
의과대학과 지역 병원 간의 연계성도 한층 높아질 것으로 기대됩니다.
[오연천/울산대학교 총장 : "울산광역시의 미래 의료 인재를 양성하는 새로운 정책 목표가 추가되었다는 겁니다."]
울산대는 아산의학관 공사에 글로컬대 예산을 부적절하게 썼다가 교육부로부터 58억 원을 삭감당하기도 했습니다.
우여곡절 끝에 문을 열었지만, 정작 이곳에서 공부할 의대생이 돌아올지는 미지수입니다.
의정 갈등 여파로 울산대 의대생들은 지난해부터 집단 휴학을 한 상황.
대학은 학생들을 압박하지 않고 오는 31일 개강 때까지 기다린다는 입장입니다.
[임영석/울산대학교 의과대학장 : "여전히 학생들이 결정을 못하고 있는 상황이지만 열심히 교류하고 있고요. 저희는 학생들에게 제적이라는 압박 카드를 쓸 생각은 없습니다."]
아산의학관에는 대학과 병원의 공동 연구를 위한 의료 혁신센터와 함께 지역 주민을 위한 체육시설도 들어섰습니다.
KBS 뉴스 김홍희입니다.
촬영기자:정운호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