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산림 인접 지역에서 영농 부산물과 쓰레기 등을 몰래 태우는 불법 소각이 잇따르고 있는데요,
대형 산불 발생 위험이 높은 요즘, 산림 당국과 소방 당국은 산불 예방에 총력을 기울이며 불법 소각을 자제해달라고 당부하고 있습니다.
김보람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어둠이 내린 밤, 밭 한 가운데 불길이 치솟습니다.
이달(4월) 초 한 주민이 영농 부산물을 몰래 태우다 정선군에 적발된 겁니다.
이보다 앞선 지난달(3월) 말, 강릉의 한 산림 인접 지역 밭에서도 불법 소각이 적발됐습니다.
연습장과 책 등 불에 타다만 쓰레기들이 아직도 그대로 남아 있습니다.
영남 지역 대형산불 악몽이 이어지고 있지만, 불법소각은 근절되지 않고 있습니다.
최근 강릉과 정선, 평창 등에서 적발된 불법소각만 10건입니다.
대부분 도심 외곽에 거주하는 고령의 주민이 영농 부산물과 생활 쓰레기를 몰래 태운 경우였습니다.
쓰레기를 어디에 어떻게 버려야 하는지 제대로 알지 못했고, 쓰레기를 옮기기도 힘들다는 이유에서입니다.
[불법 소각 적발 주민/음성변조 : "(쓰레기 들고) 갈 수가 없어. 진짜로 그걸 어떻게 해. 안아 나를 수도 없고 키가 이렇게 크고 무겁고 하니까, 이거를 천상 어떻게 그리고 어디다 버릴 수가 없어."]
산림 당국은 물론 소방 당국도 모든 직원이 나서 산불 예방 활동에 나서고 있습니다.
마을을 돌며 산불 예방 홍보 방송에 나서는가 하면, 마을회관 등을 방문해 교육도 실시하고 있습니다.
[이순균/강릉소방서장 : "초기에는 작은 불씨였지만 바람을 타고 빠르게 확산되어 초대형 산불로 번지는 사례가 많습니다. 특히 산불의 약 70%는 사소한 부주의에서 비롯되고…."]
30만 원이 넘는 과태료에도 불구하고 좀처럼 근절되지 않는 불법 소각.
산불 예방 홍보와 교육이 더욱 강조되는 가운데, 주민 스스로 경각심을 갖는 한편 산림 지역 쓰레기 수거 방식에 대해서도 고민이 필요해 보입니다.
KBS 뉴스 김보람입니다.
촬영기자:구민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