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부산구치소에서 반입이 금지된 스마트폰과 전자담배 등을 특정 재소자가 숨겨뒀던 사실, 어제 전해드렸는데요.
문제는 반입 경로입니다.
교정당국은 금지된 외부 물품에 대한 반입과 적발 현황을 관리하면서도, 여태껏 물품 반입 경로는 공개하지 않고 있습니다.
김영록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구치소 내에 스마트폰과 충전기, 심지어 전자담배까지 반입한 재소자.
과연 외부 물품을 어디서, 어떻게 가져왔을까.
우선, 교정당국은 해당 재소자가 누군가의 분실물을 주운 건지, 아니면 구치소 내부 조력자가 있는지, 금지된 외부 물품의 반입 경로를 집중 조사하고 있습니다.
[부산구치소 관계자/음성변조 : "수용자들이 그걸 참작해서 또 사고를 낼 수 있으니까…. 근데 저희 자체 조사 결과는 직원 가담은 없는 걸로 지금 확인한 상태입니다."]
실제로, 교정당국은 외부에서 반입된 금지 물품을 매년 20건 안팎 찾아내는 상황.
특히 마약류와 담배, 휴대전화가 전체의 80%에 달합니다.
KBS 취재팀 요청에, 이렇게 적발 현황은 공개한 데 반해, 금지 물품의 반입 경로 통계와 반입한 재소자·조력자의 처벌 현황 등은 공개하지 않고 있습니다.
반입 경로를 비공개하고 또 제대로 된 책임을 묻지 않는 건, 재발 방지 대책이 아닙니다.
교정시설 보안의 구멍을 더 키우는 것이라는 게 전문가 지적입니다.
[최종술/동의대 경찰행정학과 교수 : "외부에 면회객이나 또 방문객들 또는 교도관들 이런 분들이 이제 접촉하는 거기 때문에 이제 이분들과의 관련성을 우리가 의심하지 않을 수가 없는 거죠."]
어떤 결과가 나오든, 금지된 외부 물품 반입이 잇따르는 상황.
교정시설 신뢰에 금이 가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영록입니다.
촬영기자:장준영/그래픽:김소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