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정부가 미국과 2차 관세 협상을 앞두고 미국을 설득할 ‘교섭 카드’로 미국산 쌀 수입 확대, 자동차 검사 간소화 등을 검토하고 있다고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이 20일 보도했습니다.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현지 시각 16일 백악관에서 일본 측 관세 담당 각료인 아카자와 료세이 경제재생상과 만나 “대일 무역적자를 제로(0)로 하고 싶다”고 말했고, 미국 측은 이어 진행된 장관급 회담에서 농산물과 자동차 교역에 강한 불만을 제기했다고 일본 언론은 보도했습니다.
또, 지난달 말 미 무역대표부(USTR)가 펴낸 무역장벽 보고서를 근거로 일본 쌀 시장에 대해 “규제가 엄격하고 투명하지 않아 미국 수출업자의 소비자 접근을 제한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이에 일본 정부 내에서는 최근 쌀값 급등세가 이어지고 있는 점도 고려해 미국산 쌀 수입 확대 방안이 부상하고 있다고 닛케이가 전했습니다. 쌀값 유지와 농가 보호를 위해 무관세로 수입하는 쌀 중 주식용은 최대 10만t가량으로 한정했는데, 이를 늘리는 방안을 조율할 수도 있단 겁니다.
일본 정부는 무관세로 매년 쌀 77만t 정도를 수입하고 있으며, 그중 미국산 쌀이 45%를 차지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또 미국이 ‘비관세 장벽’으로 여기는 자동차 안전기준과 관련해 충돌사고 성능시험 기준 완화 등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이시바 시게루 총리도 NHK TV 프로그램에서 자동차 관련 비관세 장벽 등에 대해 “공정하지 않다는 말을 듣지 않도록 말끔하게 하겠다”고 강조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사진 출처 : 로이터=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