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이 대통령경호처로부터 윤석열 전 대통령과 경호처 간부들의 체포영장 집행 저지 혐의 관련 일부 자료를 제출받았습니다.
비화폰 서버와 대통령 집무실 CCTV 녹화영상은 제출 방식을 두고 두 기관이 협의 중입니다.
경찰청 국가수사본부 비상계엄 특별수사단 관계자는 오늘(28일) 기자간담회에서 “(경호처와) 네 차례 협의해 필요한 자료 일부를 받아서 보고 있는 게 있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비화폰 서버와 집무실 CCTV 등 몇 가지 못 받은 게 있어, 어떻게 받을지 협의 중”이라고 덧붙였습니다.
특수단 관계자는 비화폰 서버 실물을 받는 것인지, 가공한 자료를 받는 것인지를 묻자 “증거 자료로 써야하기 때문에 증거로서의 가치가 훼손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협의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윤 전 대통령과 김성훈 경호처 차장 등의 특수공무집행방해 혐의를 수사하는 경찰 특수단은 앞서 지난 16일 비화폰 서버와 대통령 집무실 CCTV 등을 확보하기 위해 압수수색을 시도했지만, 경호처가 자료를 임의 제출하겠다며 압수수색을 불승인해 철수했습니다.
이 관계자는 “경호처가 최대한 협조하겠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경호처가 이전에 비해 더 협조적이라고 볼 수 있느냐는 질문에는 “그렇게 보셔도 될 것 같다”고 답했습니다.
윤 전 대통령 조사 계획과 관련해서는 “자료를 추가로 받아야 하고 분석도 해야 해 조사 시점을 말씀드리기 어렵다”고 말했습니다.
경찰은 이상민 전 행정안전부 장관의 언론사 단전·단수 지시 의혹과 관련한 조사도 이어가고 있습니다.
특수단 관계자는 “추가로 증거를 확보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며, “참고인 조사하고 법리 검토까지 진행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추가 소환이나 구속 영장 신청 여부에 대해서는 “지금 단계에서 말씀드릴 상황은 아니다”라고 답했습니다.
한덕수 국무총리와 추경호 전 국민의힘 원내대표 등에 대한 수사도 아직 진행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경찰 특수단은 비상계엄과 관련해 111명을 입건해 6명을 송치하고 20명을 타 기관에 이첩했습니다. 나머지 85명은 수사 중입니다. 입건된 111명 가운데 당정 관계자는 29명, 경찰 62명, 군 관계자가 20명입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