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대선 출마를 선언하고 '호남 사람'임을 강조하며 5.18 민주묘지를 찾았던 한덕수 전 총리가 정작 5.18민주화운동을 광주사태로 지칭해 논란이 커지고 있습니다.
정치권과 오월단체들은 공개 사과와 정치 행보 중단을 촉구하고 나섰습니다.
보도에 손준수 기자입니다.
[리포트]
시민들의 강한 반발로 5.18국립민주묘지에서 발길을 돌려야 했던 한덕수 전 국무총리.
다음 날 전직 국회의원들의 모임인 '헌정회'를 예방한 한 전 총리는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당시 상황을 설명하며 ''5·18민주화운동'을 '광주사태'로 지칭했습니다.
[한덕수/전 국무총리/어제 : "5·18 광주 사태에 대한 충격과 아픔은 광주에 계셨던 분들이 가장 아팠을 거라고 저는 생각합니다."]
'광주 사태'는 진상규명 작업을 거쳐 더는 사용하지 않는 표현입니다.
그동안 일부 보수인사들이 의미를 왜곡하거나 깎아내리기 위해 썼던만큼 파장이 커지고 있습니다.
[조승래/더불어민주당 선거대책위원회 수석대변인 : "5·18을 입에 올릴 자격은커녕 국민 앞에 설 자격도 없는 내란 대행입니다. 한덕수 전 총리는 내란 종식을 방해하지 말고 집으로 돌아가 국민의 심판을 기다리기 바랍니다."]
5·18 단체와 5·18 기념재단도 공동 성명을 내고 "여전히 5·18을 부정·왜곡하는 내란 동조 세력의 인식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명백한 증거"라며 공개 사과와 정치적 행보 중단을 촉구했습니다.
강기정 광주시장도 SNS에서 "지난 45년 겹겹이 쌓인 기억과 아픔의 첫 겹조차 모르는 '호남 사람'"이라고 비판했습니다
이에 대해 한 전 총리 측은 5·18민주화운동이라고 줄곧 공식적으로 표현해왔고, 광주사태 발언은 순간 말실수"라며 진화에 나섰습니다.
그러나 '호남사람'을 내세우며 표심 구하기에 나섰던 한 전 총리를 둘러싼 정치적 공방은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보입니다.
KBS 뉴스 손준수입니다.
촬영기자:안재훈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