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충청북도 출연 기관인 충북테크노파크 원장 후보자가 자진 사퇴 의사를 밝혔습니다.
청탁금지법 위반 논란이 불거진 지 20여 일 만입니다.
충북도의회의 인사 청문까지 통과한 산하기관장 후보자가 사실상 낙마한 건 이번이 처음입니다.
정진규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충북테크노파크 원장으로 내정된 신규식 후보자가 충청북도에 자진 사퇴 의사를 밝혔습니다.
신 후보는 충북테크노파크 측에 문자 메시지를 보내 '충북TP와 도의회, 충청북도에 부담을 주고 싶지 않다'는 뜻을 밝혔습니다.
그러면서도 '법을 어겼다고 인정하는 것은 아니다'라고 강조했습니다.
신 후보의 청탁금지법 위반 논란은 후보자 인사청문회 직전 불거졌습니다.
지역 방송사에 근무하던 2019년부터 5년 동안 특정 기업과 자문 계약하고 1억 3천만 원을 받은 사실이 드러난 겁니다.
신 후보는 '법무법인 검토를 거친 정당한 계약이었다'고 강하게 해명했고, 도의회도 '적합' 의견으로 인사 청문 경과 보고서를 채택·의결했지만 진통은 계속됐습니다.
시민단체들은 국민권익위원회와 경찰에 신 후보를 고발했고, 일부 주민들은 임명 철회를 요구하는 서명 운동에 나섰습니다.
중소벤처기업부 승인과 충청북도의 임명만 남겨둔 상황에서 도덕성 논란이 거세지자 신 후보는 결국, 김영환 지사에게도 사퇴 의사를 전한 걸로 알려졌습니다.
충청북도는 신 후보자의 자진 사퇴를 공식화하고, 신임 원장 공모 절차 준비에 착수했습니다.
새 인선까지, 충북테크노파크는 정책기획단장 직무 대행 체제로 운영됩니다.
충북 지역 산업 혁신을 책임질 핵심 기관장 인선이 좌초된 상황.
충청북도의 기관장 인선과 도의회의 검증을 근본적으로 재정비해야 한다는 비판도 거세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정진규입니다.
영상편집:오진석/그래픽:최윤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