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하루 연기됐던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대면 협상이 여전히 진통을 겪고 있습니다.
오늘은 만날 거라 서로 말은 하는데, 협상은 아직 시작되지 않았습니다.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자신이 푸틴을 만나기 전엔 협상에 진전이 없을 거라 말했습니다.
김귀수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3년 만의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직접 협상이 진통을 겪고 있습니다.
당초 현지 시각 15일 협상이 시작될 계획이었지만 일단은 불발됐습니다.
러시아 타스 통신은 세부 계획상 이유였다며, 16일엔 양측이 만날 거라 보도했습니다.
전쟁 초기인 2022년 3월 결렬된 이스탄불 협상 이후 양측이 처음 테이블에 마주 앉지만 전망이 그리 밝지만은 않습니다.
우크라이나는 러시아 협상단을 '장식용'이라고 비판했고, 러시아는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을 '광대'로 칭하며 맞받는 등 시작 전부터 기싸움을 벌였습니다.
협상 자체도 양측의 이견이 워낙 큽니다.
러시아 대표단은 이번 협상을 2022년 중단된 협상의 연장선으로 생각합니다.
[블라디미르 메딘스키/러시아 측 협상 대표단장 : "우리는 이번 협상을 3년 전 우크라이나 측의 방해로 중단되었던 이스탄불 평화 프로세스의 연장선으로 보고 있습니다."]
당시 우크라이나의 나토 가입 추진 철회와 크림반도와 돈바스 지역 주권 포기 등 사실상 우크라이나의 항복을 요구했던 것으로 전해집니다.
우크라이나 측은 일단은 휴전에 집중한다는 방침입니다.
[볼로디미르 젤렌스키/우크라이나 대통령 : "의제와 관련해, 협상단은 휴전을 논의할 권한을 가집니다. 그게 최우선 과제입니다. 그래서 이스탄불에 갔습니다."]
미국도 이번 협상에 큰 기대를 걸지 않은 모양샙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이 푸틴과 만나기 전엔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을 거라 말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미국 대통령 : "나는 (러시아) 대표단 구성에 대해 아무것도 모르고, 확인조차 하지 않았습니다. 푸틴 대통령과 제가 만나기 전까지는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을 겁니다. 아시겠어요?"]
루비오 미국 국무장관은 현재를 정체 국면으로 표현하며 트럼프 대통령만이 이를 돌파할 수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KBS 뉴스 김귀수입니다.
영상편집:김은주/자료조사:김나영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