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란철 황어 회귀 가로막는 강원 하천 인공 구조물

입력 2025.05.16 (21:51)

수정 2025.05.16 (22:10)

[앵커]

동해안 하천에는 산란철이 되면 황어나 연어 등 회귀성 물고기가 몰려듭니다.

하지만 인공 구조물 등으로 상류로 가는 물길이 막혀 물고기가 도중에 폐사하는 사례가 해마다 반복하고 있습니다.

정창환 기자입니다.

[리포트]

강원 동해안의 한 하천입니다.

하류에 놓인 보행교 아래에 황어가 몰려 있습니다.

상류로 가기 위해 몸부림치지만, 콘크리트 턱을 넘어서지 못합니다.

간신히 올라서면, 이번엔 철망이 황어를 가로막습니다.

철망에 갇혀 오도 가도 못하거나, 몸이 끼어 꼼짝을 못합니다.

[인근 주민 : 고기가 저 안에 갇혀 가지고 망 안에, 2마리가 있네. 야야. 망 안에 갇혀 가지고 숨을…."]

이들 황어는 결국 철망을 벗어나지 못하고, 며칠 뒤 폐사했습니다.

산란하기 위해 하천 상류로 가려다, 인공 구조물에 막힌 겁니다.

이동로를 찾지 못한 황어들은 하류에 갇혀 이리저리 떠돌고 있습니다.

상류로 가지 못한 황어들은 결국 물 깊은 하류에서 산란하게 됩니다.

하지만 부화 확률은 크게 떨어집니다.

맑고 얕은 상류 여울과 달리, 산소가 제대로 공급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전문가들은 이런 문제가 동해안 하천 곳곳에서 되풀이되지만 개선되지 않으면서 개체 수 감소로 이어진다고 지적합니다.

[정호권/한반도생태계연구소 소장 : "세 군데 정도 포크레인으로 해서 물 깊이를 좀 파야 해요. 그래서 꼬리를 가지고, 추진력을 가지고, 치고 올라가야 하는데 지금 그렇게 할 공간이 전혀 아니다 말이죠."]

동해안 하천은 황어와 연어 등 회귀성 물고기가 매년 산란을 위해 찾아오는 곳입니다.

생태 전문가들은 물고기 이동로를 확보하기 위해, 하천 시설물 점검과 개선책 마련을 서둘러야 한다고 조언합니다.

KBS 뉴스 정창환입니다

촬영기자:박영웅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KBS 뉴스 이미지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춘천 - 주요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