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한미군 사령관 “한국은 중국 앞 항공모함…역내 작전도 역할”

입력 2025.05.17 (07:00)

수정 2025.05.17 (08:27)

[앵커]

주한미군사령관이 한국을 중국 앞에 있는 '항공모함' 같다고 비유했습니다.

한국에 주둔하는 미군의 중국 견제 역할을 강조한 겁니다.

주한미군이 북한 격퇴뿐만 아니라 인도·태평양 작전에도 초점을 맞춘다는 말까지 했습니다.

무슨 의미인지 박석호 기자가 전합니다.

[리포트]

한미 연합작전을 지휘하는 브런슨 주한미군 사령관은 북한을 '중국과 러시아에 고삐를 잡힌 말'로 표현했습니다.

북중 협력에 더해 북한이 러시아와 군사적으로 밀착하는 현실을 우려한 겁니다.

이에 따라 주한미군의 역할도 북한에만 한정될 수는 없다고 브런슨 사령관은 강조했습니다.

[제이비어 브런슨/주한미군 사령관 : "주한미군은 북한을 물리치는 것에만 초점을 두는 게 아닙니다. 더 큰 인도·태평양 전략의 작은 부분으로서 역내 작전과 활동, 투자에도 초점을 맞춥니다."]

미국은 해외 미군의 활동 범위를 주둔지에 제한하지 않고, 위기 지역에 투입하는 '전략적 유연성'을 추진해 왔습니다.

브런슨 사령관은 한국을 전초기지인 항공모함에 비유하기도 했습니다.

[제이비어 브런슨/주한미군 사령관 : "밤에 찍은 위성사진을 보면 한국은 섬이자, 일본과 중국 사이에 떠 있는 고정된 항공모함처럼 보입니다."]

중국과 타이완 분쟁 등에 주한미군이 발을 들이고 한반도에 전력 공백이 생길 우려에 우리 군도 대응 전략을 고심 중입니다.

[전하규/국방부 대변인/3월 31일 : "아시겠지만 한반도 평화와 안정을 위해서 역할을 하는 것이 주한미군의 가장 큰 역할이고요. 그건 변함이 없습니다."]

브런슨 사령관은 또 한미일 연합훈련의 장애물을 제거해야 한다고 했는데, 일본 자위대와의 협력을 강조한 것으로 해석됩니다.

KBS 뉴스 박석호입니다.

영상편집:김대범/자료조사:권애림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KBS 뉴스 이미지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