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실 “관세협상, 반도체·이차전지 등도 논의…농축산물 민감성 인식”

입력 2025.07.30 (14:27)

수정 2025.07.30 (15:20)

KBS 뉴스 이미지
대통령실은 미국과의 관세 협상과 관련해 "우리 감내 가능하고 한미 간에 상호 호혜적인 성과를 낼 수 있는 분야를 중심으로 패키지를 짜서 논의를 실질적으로 많이 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은 오늘(30일) 브리핑 과정에서 관세 협상 관련 질문에 이같이 답하며 "(미국이) 조선 분야에 관심이 있다는 건 말씀드렸고 그 분야는 훨씬 더 심도 있는 협의를 이어가고 있고, 조선이 아닌 분야도 반도체와 이차전지 바이오 등 분야 논의를 이어가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관세는 말씀드린 대로 다시 반복하지만 대한민국 국익을 최우선으로 하여 차분하게 협상하고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김 실장은 또 시장 개방이나 대미 투자 규모 등과 관련해선 "기본적으로 협상이란 건 최종적으로 타결될 때까지 서로 논의해 가는 과정에서 어떤 프로그램이 추가되고 빠질 수도 있기 때문에 규모에 대해선 전혀 말씀드리기 어렵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여기저기서 약간씩 흘러나온 얘기가 보도되는데 거기에 대해 말씀드리기 어렵다"며 "말한 대로 국익 최우선이고, 우리가 감내 가능한 범위 내 그리고 한국과 미국이 상호 호혜적인 결과를 낼 수 있는 몇 가지 원칙으로 (협상을)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 "농축산물 민감성 충분히 인식…국익 최우선 협상"

한편 김 실장은 "농축산물 (개방)에 대한 민감성은 정부가 충분히 알고 있다"며 "그런 인식을 바탕으로 국익 최우선으로 협상에 임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또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과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 김동관 한화그룹 부회장 등이 잇따라 미국으로 향해 관세 협상 측면 지원에 나섰다는 보도와 관련해선 "대한민국의 무척 중요한 현안이고 개별 기업, 본인들 사업에도 매우 중요한 사안"이라고 말했습니다.

김 실장은 "조선 같은 경우 김동관 부회장은 한화오션 조선 쪽 사업을 하고 있고, 이재용 회장은 반도체를 하고 있다"며 "반도체의 경우 품목 관세가 새로 추가되느니 마느니 이야기가 있다, 저희가 (협상 지원을) 요청하고 그런 것은 아니다"라고 설명했습니다.

이어 "우리나라 기업집단, 대기업 회장들에게도 매우 중요한 사안이기 때문에 자발적으로 가서 노력하고 있다"며 "민간 기업들이 구축한 미국 내 네트워크도 상당하기 때문에 정부 협상의 큰 틀에서 필요한 경우 공유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우리를 대신해서 민간 입장에서 본인들이 중요성을 강조해 주고, 개별적으로 만나고 민간에서도 정부고위당국자들을 많이 만날 수 있다"며 "거기에서 들은 이야기를 전달받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한편 시한 내 협상이 이뤄지지 못하거나 상호관세 부과가 유예될 수 있느냐는 질문에 김 실장은 "시한에 대해선 트럼프 대통령에게 (현지에서) 이런저런 질문을 했던데 제가 들은 바는 없다"고 말했습니다.

또 러트닉 미 상무장관 등이 '최선의 최종안'을 가져오라고 주문했다는 보도와 관련해서도 "협상 상대방은 항상 그렇게 이야기한다"며 "대한민국 정부는 국익을 기준으로 해서 최우선으로 협상에 임하고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KBS 뉴스 이미지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