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병특검, ‘수중수색 지침 변경’ 전 포병대대장 소환…조태용 4차 조사

입력 2025.08.20 (10:52)

수정 2025.08.20 (10:52)

KBS 뉴스 이미지
순직해병 특검팀이 해병 순직 당시 임의로 ‘수중 수색’ 지침으로 받아들여질 수 있는 지시를 내린 혐의를 받는 당시 현장 지휘관을 소환했습니다.

특검팀은 오늘(20일) 오전부터 최진규 전 해병대 1사단 포병여단 제11포병대대장(중령)을 업무상 과실치사상 혐의 피의자 신분으로 처음 불러 조사하고 있습니다.

최 중령은 조사에 앞서 “박상현 당시 1사단 7여단장(대령)으로부터 수중수색 지시를 받은 적 있는지”, “상급부대 지침 위반하고 장병들에게 수중수색 지시한 경위가 무엇인지”, “임성근 당시 1사단장이 수중수색이 어렵다는 건의를 묵살했는지” 등 취재진의 질문에 “조사에 성실히 임하겠다”는 말만 남긴 채 조사실로 향했습니다.

최 중령은 해병 순직 사건 당시 현장 대대장 중에서도 선임으로, 해병 사망 전날인 2023년 7월 18일 “내일 우리 포병은 허리 아래까지 들어간다. 다 승인받았다”며 포 7대대가 사실상 수중수색으로 오인할 수 있는 지시를 내린 혐의를 받습니다.

같은 날 현장 최선임 지휘관인 박상현 전 여단장은 ‘수중이 아닌 수변에서, 장화 높이까지 들어갈 수 있다’는 실종자 수색 지침을 내렸지만, 앞서 채상병 사건을 수사한 경북경찰청은 최 중령이 이 지침을 임의로 바꿔 지시하고 관련 안전 대책을 세우지 않았다고 결론 내렸습니다.

한편 순직해병 사건 ‘수사 외압’ 의혹과 관련해 경찰 이첩 기록 회수에 관여한 인물로 지목된 조태용 전 국가안보실장은 오늘 오전부터 네 번째 피의자 조사를 받고 있습니다.

조 전 실장은 직권남용 권리행사방해 혐의를 받고 있는데, 조사에 앞서 “여러 차례 조사받는 중인데 소명할 것이 더 남았냐”는 취재진의 질문에 “잘 조사받도록 하겠다”고 답했습니다.

조 전 실장은 이른바 ‘VIP 격노’가 비롯된 2023년 7월 31일 대통령실 외교안보 수석비서관 회의 이후 순직 해병 사건 기록 회수에 개입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습니다.

사건 기록의 경찰 이첩 보류와 회수에 관여한 또다른 인물로 지목된 임기훈 전 대통령실 국방비서관과 박정훈 해병대 수사단장(대령)의 구속영장에 허위사실을 적시한 의혹을 받는 염보현 국방부 검찰단 군검사(소령)도 오늘 특검 사무실에 출석했습니다.

이들은 각각 세 번째 특검 조사를 받고 있는데, 모두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지 않은 채 조사실로 향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KBS 뉴스 이미지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