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미국 정부가 반도체 기업 인텔 지분 확보에 나설 계획입니다.
반도체법에 따라 백억 달러 넘는 보조금을 지원하는 만큼, 인텔에 영향력을 갖겠다는 겁니다.
어떤 의도가 더 담긴 건지, 김귀수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러트닉 미국 상무장관은 인텔에 보조금을 주되 그 대가로 지분을 확보하겠다고 밝혔습니다.
[하워드 러트닉/미국 상무장관 : "(보조금을 지급하는 대신) 이 돈을 트럼프 대통령 손에 맡기면 미국 납세자들은 더 나은 거래를 얻을 수 있습니다. 그게 바로 도널드 트럼프입니다."]
인텔에 약속된 보조금은 109억 달러, 인텔의 시가 총액이 약 1,100억 달러니 보조금이 다 지급되면 인텔 지분의 10%를 정부가 취득하게 됩니다.
러트닉 장관은 경영권을 행사하지는 않겠다고 했지만, 실행되면 미 정부는 인텔의 최대 주주가 됩니다.
트럼프 정부가 인텔의 지분 확보를 추진하는 건 국가 안보와 경제의 핵심 전략 자산인 반도체에 대한 안정적인 공급망을 확보하겠다는 속내로 읽힙니다.
전 세계 반도체 생산에서 미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약 13%, 하지만 수요는 25%로 해외 의존도가 높습니다.
[캐롤라인 레빗/백악관 대변인 : "이러한 핵심 공급망을 국내로 되돌리는 동시에 미국 납세자에게도 이익을 가져다주는 것을 보장하기 위한 것입니다."]
트럼프 정부는 희토류 생산 회사에도 투자했는데, 기업 경영을 정부 목표에 맞게 끌고 가겠다는 계산입니다.
트럼프식 '거래의 기술'이 또 한 번 등장했지만 미국 내에서조차 시장을 왜곡하는 중국식 모델이라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귀수입니다.
영상편집:서삼현/그래픽:채상우/자료조사:정지윤/영상출처:CNB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