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트럼프 대통령은 주한미군 기지의 땅 소유권을 요구하겠다는 발언도 해 이목을 끌고 있습니다.
동맹국의 영토 주권과도 관련된 민감한 문제인데도 갑자기 언급한 의도가 무엇인지, 윤 진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주한미군 감축 구상에 대해 답변하던 트럼프 대통령, 주한미군 기지의 부지 소유권을 불쑥 꺼내 들었습니다.
"한국은 부지를 미국에 준 것이 아니라 빌려준 거"라며, "하고 싶은 일 중 하나는 한국에 땅의 소유권을 달라고 요청하는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미국 대통령 : "거대한 군사기지 부지의 임대차 계약을 없애고 소유권을 가질 수 있는지 살펴보겠다."]
주한미군 평택기지, 캠프 험프리스는 여의도의 5배 규모.
미군 해외 기지 가운데 가장 큽니다.
주한미군지위협정, SOFA에 따라, 더 필요 없게 되면 한국에 반환해야 합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주한미군은 4만 명이고, 미국이 기지 건설에 많은 돈을 썼다고도 했는데, 실제는 2만 8천여 명, 캠프 험프리스 건설비의 90%는 한국이 부담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2017년 방한 당시 이곳을 방문해, 이를 알고 있을 가능성이 큽니다.
때문에, 수치를 다르게 말한 건 의도적이란 관측이 나옵니다.
4만 명을 언급해 중국 견제를 위해 더 많은 병력을 수시 배치하고, 소유권을 언급해 북한의 위협 대비를 넘어 미국 인도 태평양 전략의 거점으로 활용하려는 속내라는 겁니다.
[김준형/의원/국회 외교통일위원회 : "세계 최대의 최신의, 기지를 가지고 소유권까지 가지고 싶어 하는 그런 욕심이 담겨 있다고 저는 봅니다. 군부나 이쪽에서는 트럼프를 부추겼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위성락 국가안보실장은 발언의 배경을 더 알아봐야겠다며, 일단 신중한 태도를 보였습니다.
KBS 뉴스 윤진입니다.
영상편집:강정희/그래픽:유건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