엎친데 덮친 환자

입력 2000.08.13 (21:00) 수정 2018.08.29 (15: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의료계의 이번 2차 폐업으로 인한 환자들의 고통은 지난 1차 폐업 때보다 훨씬 더 심각합니다.
처방전이 없으면 약도 살 수 없기 때문입니다. 한승복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의료계의 전면 폐업 여파로 일부 중소병원 응급실은 크게 붐비고 있습니다.
침대 수가 모자라 물리 치료실까지 입원실로 쓰고 있을 정도입니다.
⊙노종원(병원 원무부장): 수술이라든지, 외래 안 되는 데서 큰 병원에서 약을 못 구해서 오시는 분들이라든지 또 처방을 받기 위해서 오시는 분들이...
⊙기자: 정 급해서 약만 지어먹는 것도 불가능합니다.
⊙오세진(환자 보호자): 의약분업 실시하기 전에는 병원에서 폐업을 해도 우리가 약을 만들 수 있고 제조할 수 있는데 지금은 병원도 문 닫고 지금 약방에서 약도 안 지어주고...
⊙남호원(환자): 나중에 보더니 이거는 처방전이 없으면 의사진단 없이는 못 드린다고 해서 못 받았어요.
⊙조현욱(약사): 처방전 없이 와 가지고 약을 달라는 분들이 대단히 많습니다.
그렇지만은 처방전 없이는 전문의약을 드릴 수 없기 때문에 저희들 입장에서 어떻게 방안을 마련할 수 없어서 대단히 안타깝습니다.
⊙기자: 간신히 처방전을 끊어와도 이번에는 약이 없어서 헤매다녀야 합니다.
⊙장대철(환자보호자): 한 다섯 군데를 큰 데만 다섯 군데 정도를 다녔어요, 그런데 보통 큰 약국에서 한 두 가지, 세 가지씩 약이 없다고 해요.
⊙기자: 의약분업이 전면 실시된 지 13일.
그리고 의료계 집단 폐업이 사흘째. 환자들만 고통 받고 있습니다.
KBS뉴스 한승복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엎친데 덮친 환자
    • 입력 2000-08-13 21:00:00
    • 수정2018-08-29 15:00:00
    뉴스 9
⊙앵커: 의료계의 이번 2차 폐업으로 인한 환자들의 고통은 지난 1차 폐업 때보다 훨씬 더 심각합니다. 처방전이 없으면 약도 살 수 없기 때문입니다. 한승복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의료계의 전면 폐업 여파로 일부 중소병원 응급실은 크게 붐비고 있습니다. 침대 수가 모자라 물리 치료실까지 입원실로 쓰고 있을 정도입니다. ⊙노종원(병원 원무부장): 수술이라든지, 외래 안 되는 데서 큰 병원에서 약을 못 구해서 오시는 분들이라든지 또 처방을 받기 위해서 오시는 분들이... ⊙기자: 정 급해서 약만 지어먹는 것도 불가능합니다. ⊙오세진(환자 보호자): 의약분업 실시하기 전에는 병원에서 폐업을 해도 우리가 약을 만들 수 있고 제조할 수 있는데 지금은 병원도 문 닫고 지금 약방에서 약도 안 지어주고... ⊙남호원(환자): 나중에 보더니 이거는 처방전이 없으면 의사진단 없이는 못 드린다고 해서 못 받았어요. ⊙조현욱(약사): 처방전 없이 와 가지고 약을 달라는 분들이 대단히 많습니다. 그렇지만은 처방전 없이는 전문의약을 드릴 수 없기 때문에 저희들 입장에서 어떻게 방안을 마련할 수 없어서 대단히 안타깝습니다. ⊙기자: 간신히 처방전을 끊어와도 이번에는 약이 없어서 헤매다녀야 합니다. ⊙장대철(환자보호자): 한 다섯 군데를 큰 데만 다섯 군데 정도를 다녔어요, 그런데 보통 큰 약국에서 한 두 가지, 세 가지씩 약이 없다고 해요. ⊙기자: 의약분업이 전면 실시된 지 13일. 그리고 의료계 집단 폐업이 사흘째. 환자들만 고통 받고 있습니다. KBS뉴스 한승복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