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미사일의 제원과 성능

입력 2006.07.05 (22:29) 수정 2006.07.05 (22:3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그럼 여기서 북한이 오늘 발사한 미사일 제원과 성능을 알아보고 북한의 미사일 개발능력이 어디까지 와 있는지 분석해보겠습니다. 정제혁 기잡니다.

<리포트>

우선 대포동 2호 미사일은 지난 98년 시험 발사한 대포동 1호를 개량한 ICBM, 대륙간 탄도 미사일입니다.

북한이 개발에 주력하고 있는 3단계 로켓 추진 방식으로 최대 사거리는 6천 700킬로미터 미국 알래스카와 하와이 그리고 미국 서부 해안 일부까지 닿도록 설계됐다는 것이 한.미 정보 당국의 판단입니다.

전체 길이 약 32미터, 무게는 약 80여톤으로 추정됩니다.

그러나 공격 정확성과 천 킬로그램 정도로 보이는 탄두 운반 능력에 대해서는 의문점이 많다는 평가입니다.

노동 1호는 지난 93년 개발된 중거리 탄도 미사일로 사거리는 약 1300킬로미터, 거의 일본 전역을 영향권에 두고 있습니다.

현재 100에서 200기 정도가 실전 배치된 것으로 파악되고 있습니다.

함께 발사된 스커드 시 미사일은 북한이 지난 80년대 소련제 스커드 미사일을 개량해 사거리를 500킬로미터로 늘린 것입니다.

현재 500여기가 실전 배치돼 있는 것으로 정보 당국은 파악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같은 미사일들의 사거리는 탄두 무게에 따라 크게 달라져 대포동 2호의 경우 최대 만 5천 킬로미터까지 늘릴 수 있는 것으로 군사 전문가들은 판단하고 있습니다.

북한은 미사일을 핵과 함께 체제 유지를 위한 핵심 수단으로 여기고 있습니다.

또한 부품과 기술 수출을 통한 중요한 외화 벌이의 수딘이기도 합니다.

그래서 70년대 중반부터 주변국들의 우려와 견제를 무릅써가면서 미사일 개발에 총력을 기울여 왔습니다.

KBS 뉴스 정제혁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北 미사일의 제원과 성능
    • 입력 2006-07-05 21:02:40
    • 수정2006-07-05 22:31:32
    뉴스 9
<앵커 멘트> 그럼 여기서 북한이 오늘 발사한 미사일 제원과 성능을 알아보고 북한의 미사일 개발능력이 어디까지 와 있는지 분석해보겠습니다. 정제혁 기잡니다. <리포트> 우선 대포동 2호 미사일은 지난 98년 시험 발사한 대포동 1호를 개량한 ICBM, 대륙간 탄도 미사일입니다. 북한이 개발에 주력하고 있는 3단계 로켓 추진 방식으로 최대 사거리는 6천 700킬로미터 미국 알래스카와 하와이 그리고 미국 서부 해안 일부까지 닿도록 설계됐다는 것이 한.미 정보 당국의 판단입니다. 전체 길이 약 32미터, 무게는 약 80여톤으로 추정됩니다. 그러나 공격 정확성과 천 킬로그램 정도로 보이는 탄두 운반 능력에 대해서는 의문점이 많다는 평가입니다. 노동 1호는 지난 93년 개발된 중거리 탄도 미사일로 사거리는 약 1300킬로미터, 거의 일본 전역을 영향권에 두고 있습니다. 현재 100에서 200기 정도가 실전 배치된 것으로 파악되고 있습니다. 함께 발사된 스커드 시 미사일은 북한이 지난 80년대 소련제 스커드 미사일을 개량해 사거리를 500킬로미터로 늘린 것입니다. 현재 500여기가 실전 배치돼 있는 것으로 정보 당국은 파악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같은 미사일들의 사거리는 탄두 무게에 따라 크게 달라져 대포동 2호의 경우 최대 만 5천 킬로미터까지 늘릴 수 있는 것으로 군사 전문가들은 판단하고 있습니다. 북한은 미사일을 핵과 함께 체제 유지를 위한 핵심 수단으로 여기고 있습니다. 또한 부품과 기술 수출을 통한 중요한 외화 벌이의 수딘이기도 합니다. 그래서 70년대 중반부터 주변국들의 우려와 견제를 무릅써가면서 미사일 개발에 총력을 기울여 왔습니다. KBS 뉴스 정제혁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이슈

北 미사일 시험 발사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