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층취재] 남북관계 경색 심화 불가피

입력 2006.07.19 (22:25) 수정 2006.07.19 (22:3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북한의 미사일 사태가 계속 악화되면서 결국 이산가족 상봉 중단에까지 이르렀습니다.

남북관계 경색도 심화될 가능성이 그만큼 높아지고 있습니다.

북한의 초강수는 과연 어디까지 계속될까요?

원종진 기자가 심층보도합니다.

<리포트>

이산가족 상봉은 2000년 8월 이후 그동안 14차례 열렸습니다.

화상 상봉도 4차례 실시됐습니다.

북한이 그동안 상봉행사를 연기한 적은 두 차례 있지만 전면 중단을 선언한 것은 처음입니다.

북한은 2000년 3차 상봉행사를 내부 사정을 이유로, 2001년 4차 상봉행사를 911테러 사건 뒤 남한의 강화된 경계태세를 이유로 일방적으로 연기했습니다.

이번에는 남측이 쌀과 비료 지원을 유보했으니 이산가족 상봉을 중단하겠다고 했습니다.

그 책임은 인도적 문제를 외면한 남측이 져야 한다고 강변했습니다.

그러나 이산가족 상봉 중단 선언은 최근의 미사일 사태와 연관돼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유엔 결의안 통과 등 거세지는 국제사회의 압력에 대한 거부의사를 표시하는 시위라는 것입니다.

<인터뷰> 류길재(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 : "이산가족상봉과 같은 인도주의적인 사업을 중단함으로 해서 국제사회와 또 한국 정부에 대한 강력한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는 수단이라고 보는 것 같습니다."

군부의 입김이 강한 북한이 남북관계를 재검토하고 있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습니다.

이에 대해 우리 정부는 미사일 사태의 돌파구가 마련되지 않으면 추가 지원은 없다는 입장을 견지하고 있습니다.

이 때문에 북한의 6자회담 복귀 전까지는 남북관계 경색 심화는 불가피해 보입니다.

당장 다음달 평양에서 열리는 8.15 공동 행사에 정부 대표단이 참석할지도 미지숩니다.

개성공단과 금강산관광 등 경협사업에도 영향이 전혀 없을 수는 없다는 게 북한 전문가들의 견햅니다.

<인터뷰> 남성욱(고려대 북한학과 교수) : "미국과 일본의 북한 압력이 거세지고 있습니다. 북한이 여기에 정면으로 맞대응하기보다는 서울을 통해서 불만들을 화풀이할 것으로 보입니다."

정부는 북한의 이번 조치가 전반적인 남북관계 경색으로까지 이어지지 않기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정부는 오늘 오전 노무현 대통령 주재로 유엔 안보리 결의 이후의 대책을 논의하고 과도한 위기조성이나 대결국면보다는 대화와 협상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정리했습니다.

이산가족 상봉 중단선언 이후에도 이런 기조에는 변화가 없을 것이라고 청와대 관계자는 전했습니다.

KBS 뉴스 원종진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심층취재] 남북관계 경색 심화 불가피
    • 입력 2006-07-19 21:05:13
    • 수정2006-07-19 22:30:19
    뉴스 9
<앵커 멘트> 북한의 미사일 사태가 계속 악화되면서 결국 이산가족 상봉 중단에까지 이르렀습니다. 남북관계 경색도 심화될 가능성이 그만큼 높아지고 있습니다. 북한의 초강수는 과연 어디까지 계속될까요? 원종진 기자가 심층보도합니다. <리포트> 이산가족 상봉은 2000년 8월 이후 그동안 14차례 열렸습니다. 화상 상봉도 4차례 실시됐습니다. 북한이 그동안 상봉행사를 연기한 적은 두 차례 있지만 전면 중단을 선언한 것은 처음입니다. 북한은 2000년 3차 상봉행사를 내부 사정을 이유로, 2001년 4차 상봉행사를 911테러 사건 뒤 남한의 강화된 경계태세를 이유로 일방적으로 연기했습니다. 이번에는 남측이 쌀과 비료 지원을 유보했으니 이산가족 상봉을 중단하겠다고 했습니다. 그 책임은 인도적 문제를 외면한 남측이 져야 한다고 강변했습니다. 그러나 이산가족 상봉 중단 선언은 최근의 미사일 사태와 연관돼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유엔 결의안 통과 등 거세지는 국제사회의 압력에 대한 거부의사를 표시하는 시위라는 것입니다. <인터뷰> 류길재(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 : "이산가족상봉과 같은 인도주의적인 사업을 중단함으로 해서 국제사회와 또 한국 정부에 대한 강력한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는 수단이라고 보는 것 같습니다." 군부의 입김이 강한 북한이 남북관계를 재검토하고 있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습니다. 이에 대해 우리 정부는 미사일 사태의 돌파구가 마련되지 않으면 추가 지원은 없다는 입장을 견지하고 있습니다. 이 때문에 북한의 6자회담 복귀 전까지는 남북관계 경색 심화는 불가피해 보입니다. 당장 다음달 평양에서 열리는 8.15 공동 행사에 정부 대표단이 참석할지도 미지숩니다. 개성공단과 금강산관광 등 경협사업에도 영향이 전혀 없을 수는 없다는 게 북한 전문가들의 견햅니다. <인터뷰> 남성욱(고려대 북한학과 교수) : "미국과 일본의 북한 압력이 거세지고 있습니다. 북한이 여기에 정면으로 맞대응하기보다는 서울을 통해서 불만들을 화풀이할 것으로 보입니다." 정부는 북한의 이번 조치가 전반적인 남북관계 경색으로까지 이어지지 않기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정부는 오늘 오전 노무현 대통령 주재로 유엔 안보리 결의 이후의 대책을 논의하고 과도한 위기조성이나 대결국면보다는 대화와 협상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정리했습니다. 이산가족 상봉 중단선언 이후에도 이런 기조에는 변화가 없을 것이라고 청와대 관계자는 전했습니다. KBS 뉴스 원종진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이슈

北 미사일 시험 발사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