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중취재>서러운 의료소외계층 푸대접
입력 2000.09.29 (21:00)
수정 2018.08.29 (15: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의약분업 이후 노인이나 보훈대상자 등은 장기치료 환자인 경우에도 일주일에 두 번씩이나 보건소를 찾아야 합니다.
소외계층에 의료비를 지원해준 지방자치단체의 경직된 의료복지정책 때문인데 그 실태와 문제점을 차운자, 김주영 두 기자가 집중 취재했습니다.
⊙기자: 당뇨병이나 고혈압 등 만성병을 앓는 노인 환자들로 보건소가 북새통을 이루고 있습니다.
만성질환의 경우 진료를 자주 받을 필요가 없지만 의약분업이 되고 나서는 사나흘에 한 번씩은 와야 합니다.
⊙정진석(68살/보건소 이용환자): 자주 와야 되니까 귀찮지, 한 달에 한 번 오던 걸 사흘에 한번씩 와야 되니까.
⊙기자: 의약분업 전에는 65살 이상 노인들과 독립유공자 등을 대상으로 보건소에서 무료로 약을 지어줬습니다.
그러나 이제는 약값이 8000원을 넘으면 환자들도 약국에 돈을 내야 합니다.
지난해 서울시가 보건소에 지원한 약값만 해도 하루 평균 2600명분에 이릅니다.
의약분업 전에는 보건소에서 한꺼번에 환자들의 약값을 청구해 지원이 가능했지만 이제는 환자들이 각자 약국에서 약을 구입해야 하므로 지원이 힘들다고 말합니다.
⊙김윤수(서울 용산구 보건소장): 의보수가를 조절해서 이것은 중앙정부 차원에서 고려해서 실행해야 될 문제지 시도에서 지원해 가지고 한다는 것은 굉장히 어렵습니다.
⊙기자: 그러나 대전시의 경우 예비비와 추경예산을 활용해 노인들과 소외계층에 대한 약값지원을 적극 검토하고 있습니다.
경직된 자치단체가 의약분업의 발목을 잡고 있습니다.
KBS뉴스 차운자입니다.
⊙기자: 장애인 이 모씨는 병원근처 대형약국을 세 군데나 들렀지만 약국들은 하나같이 조제를 거부했습니다.
약이 없다는 것이 핑계였습니다.
그러나 본인부담금을 내지 않는 의료보호환자라는 점이 약을 짓지 못한 더 큰 이유였습니다.
⊙의료보보 환자: 문전박대죠. 돈 드릴까요, 하니까 담당자가 죄송합니다. 하고...
⊙기자: 약국 입장에서는 정부가 의료보호환자들의 조제료와 약값을 몇 개월씩 늦게 지급하는 데다 당장 현금수입도 없기 때문에 조제를 기피하고 있습니다.
일부 약국들은 의료보호대상자가 너무 많다며 환자를 다른 약국으로 떠밀고 있습니다.
⊙대형약국 약사: 이러다간 약국는 문 닫겠더라고요. 안되겠다 싶어 제어를 좀 했죠.
⊙기자: 이에 따라 정부는 의료보호환자들을 위해서 2300억원을 긴급 편성해 체불 진료비를 모두 해소하고 복잡한 지급체계를 간소화 하겠다고 밝히고 있습니다.
⊙진행근(복지부 보험관리과장): 국고가 공단에다 위탁을 하게 되면 공단으로 바로 가 가지고 공단에서 바로 지급을 하게 되기 때문에 예산의 효력이 빨라진다는 거죠
⊙기자: 저소득 소외계층에 대한 정부의 배려가 의약분업 정착을 앞당길 수 있는 또 다른 과제입니다.
KBS뉴스 김주영입니다.
소외계층에 의료비를 지원해준 지방자치단체의 경직된 의료복지정책 때문인데 그 실태와 문제점을 차운자, 김주영 두 기자가 집중 취재했습니다.
⊙기자: 당뇨병이나 고혈압 등 만성병을 앓는 노인 환자들로 보건소가 북새통을 이루고 있습니다.
만성질환의 경우 진료를 자주 받을 필요가 없지만 의약분업이 되고 나서는 사나흘에 한 번씩은 와야 합니다.
⊙정진석(68살/보건소 이용환자): 자주 와야 되니까 귀찮지, 한 달에 한 번 오던 걸 사흘에 한번씩 와야 되니까.
⊙기자: 의약분업 전에는 65살 이상 노인들과 독립유공자 등을 대상으로 보건소에서 무료로 약을 지어줬습니다.
그러나 이제는 약값이 8000원을 넘으면 환자들도 약국에 돈을 내야 합니다.
지난해 서울시가 보건소에 지원한 약값만 해도 하루 평균 2600명분에 이릅니다.
의약분업 전에는 보건소에서 한꺼번에 환자들의 약값을 청구해 지원이 가능했지만 이제는 환자들이 각자 약국에서 약을 구입해야 하므로 지원이 힘들다고 말합니다.
⊙김윤수(서울 용산구 보건소장): 의보수가를 조절해서 이것은 중앙정부 차원에서 고려해서 실행해야 될 문제지 시도에서 지원해 가지고 한다는 것은 굉장히 어렵습니다.
⊙기자: 그러나 대전시의 경우 예비비와 추경예산을 활용해 노인들과 소외계층에 대한 약값지원을 적극 검토하고 있습니다.
경직된 자치단체가 의약분업의 발목을 잡고 있습니다.
KBS뉴스 차운자입니다.
⊙기자: 장애인 이 모씨는 병원근처 대형약국을 세 군데나 들렀지만 약국들은 하나같이 조제를 거부했습니다.
약이 없다는 것이 핑계였습니다.
그러나 본인부담금을 내지 않는 의료보호환자라는 점이 약을 짓지 못한 더 큰 이유였습니다.
⊙의료보보 환자: 문전박대죠. 돈 드릴까요, 하니까 담당자가 죄송합니다. 하고...
⊙기자: 약국 입장에서는 정부가 의료보호환자들의 조제료와 약값을 몇 개월씩 늦게 지급하는 데다 당장 현금수입도 없기 때문에 조제를 기피하고 있습니다.
일부 약국들은 의료보호대상자가 너무 많다며 환자를 다른 약국으로 떠밀고 있습니다.
⊙대형약국 약사: 이러다간 약국는 문 닫겠더라고요. 안되겠다 싶어 제어를 좀 했죠.
⊙기자: 이에 따라 정부는 의료보호환자들을 위해서 2300억원을 긴급 편성해 체불 진료비를 모두 해소하고 복잡한 지급체계를 간소화 하겠다고 밝히고 있습니다.
⊙진행근(복지부 보험관리과장): 국고가 공단에다 위탁을 하게 되면 공단으로 바로 가 가지고 공단에서 바로 지급을 하게 되기 때문에 예산의 효력이 빨라진다는 거죠
⊙기자: 저소득 소외계층에 대한 정부의 배려가 의약분업 정착을 앞당길 수 있는 또 다른 과제입니다.
KBS뉴스 김주영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집중취재>서러운 의료소외계층 푸대접
-
- 입력 2000-09-29 21:00:00
- 수정2018-08-29 15:00:00
⊙앵커: 의약분업 이후 노인이나 보훈대상자 등은 장기치료 환자인 경우에도 일주일에 두 번씩이나 보건소를 찾아야 합니다.
소외계층에 의료비를 지원해준 지방자치단체의 경직된 의료복지정책 때문인데 그 실태와 문제점을 차운자, 김주영 두 기자가 집중 취재했습니다.
⊙기자: 당뇨병이나 고혈압 등 만성병을 앓는 노인 환자들로 보건소가 북새통을 이루고 있습니다.
만성질환의 경우 진료를 자주 받을 필요가 없지만 의약분업이 되고 나서는 사나흘에 한 번씩은 와야 합니다.
⊙정진석(68살/보건소 이용환자): 자주 와야 되니까 귀찮지, 한 달에 한 번 오던 걸 사흘에 한번씩 와야 되니까.
⊙기자: 의약분업 전에는 65살 이상 노인들과 독립유공자 등을 대상으로 보건소에서 무료로 약을 지어줬습니다.
그러나 이제는 약값이 8000원을 넘으면 환자들도 약국에 돈을 내야 합니다.
지난해 서울시가 보건소에 지원한 약값만 해도 하루 평균 2600명분에 이릅니다.
의약분업 전에는 보건소에서 한꺼번에 환자들의 약값을 청구해 지원이 가능했지만 이제는 환자들이 각자 약국에서 약을 구입해야 하므로 지원이 힘들다고 말합니다.
⊙김윤수(서울 용산구 보건소장): 의보수가를 조절해서 이것은 중앙정부 차원에서 고려해서 실행해야 될 문제지 시도에서 지원해 가지고 한다는 것은 굉장히 어렵습니다.
⊙기자: 그러나 대전시의 경우 예비비와 추경예산을 활용해 노인들과 소외계층에 대한 약값지원을 적극 검토하고 있습니다.
경직된 자치단체가 의약분업의 발목을 잡고 있습니다.
KBS뉴스 차운자입니다.
⊙기자: 장애인 이 모씨는 병원근처 대형약국을 세 군데나 들렀지만 약국들은 하나같이 조제를 거부했습니다.
약이 없다는 것이 핑계였습니다.
그러나 본인부담금을 내지 않는 의료보호환자라는 점이 약을 짓지 못한 더 큰 이유였습니다.
⊙의료보보 환자: 문전박대죠. 돈 드릴까요, 하니까 담당자가 죄송합니다. 하고...
⊙기자: 약국 입장에서는 정부가 의료보호환자들의 조제료와 약값을 몇 개월씩 늦게 지급하는 데다 당장 현금수입도 없기 때문에 조제를 기피하고 있습니다.
일부 약국들은 의료보호대상자가 너무 많다며 환자를 다른 약국으로 떠밀고 있습니다.
⊙대형약국 약사: 이러다간 약국는 문 닫겠더라고요. 안되겠다 싶어 제어를 좀 했죠.
⊙기자: 이에 따라 정부는 의료보호환자들을 위해서 2300억원을 긴급 편성해 체불 진료비를 모두 해소하고 복잡한 지급체계를 간소화 하겠다고 밝히고 있습니다.
⊙진행근(복지부 보험관리과장): 국고가 공단에다 위탁을 하게 되면 공단으로 바로 가 가지고 공단에서 바로 지급을 하게 되기 때문에 예산의 효력이 빨라진다는 거죠
⊙기자: 저소득 소외계층에 대한 정부의 배려가 의약분업 정착을 앞당길 수 있는 또 다른 과제입니다.
KBS뉴스 김주영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