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절 불통…긴급 구난 시스템 시급

입력 2006.10.03 (22:1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60여명의 사상자가 난 대형 참사였지만 긴급구난 시스템은 작동되지 않았습니다.

갓길이 막혀 구조대 접근이 어려웠고 도로 통제조차 제때 이뤄지지 않았습니다.

정성호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서해대교 연쇄 추돌사고 소식에 구조대와 소방차 등이 현장접근을 시도했습니다.

그러나 서해대교 차로와 갓길엔 이미 수백 대의 차량으로 가득 차 있었습니다.

차량들이 한꺼번에 뒤엉키면서 갓길을 가로막아 구조대의 현장진입을 방해했습니다.

<인터뷰> 김득곤 (당진소방서장) : "교통사고가, 화재가 나고 하는 바람에 사람들이 당황해서 피하는 바람에 갓길까지 일반차량이 점유가 돼버린 상황입니다. 그래서 진입이 더 어려운 상황이죠."

구조대와 소방차는 사고 현장에 도착한 것은 사고 발생 20분이 지난 뒤였습니다.

차량에 있던 6명은 이미 숨졌습니다.

차량 통제 시간도 문젭니다.

사고가 난 지 30분이 지나서야 송악 나들목 진입을 통제했고, 1시간 20분이 지나서야 서울방향 상행선 본선을 막고 우회시키기 시작했습니다.

<인터뷰> 이병옥 (당진현장대응팀장) : "사고난 것을 도로공사 쪽에서 차단을 빨리 시켜야 되는데. 늦었어요. 타이밍이.그니까 차들이 계속 들어온다고요."

또 7.3킬로미터나 되는 사장교에서는 헬기 등을 이용한 구난활동이 어렵습니다.

따라서 긴급상황에 대비해 최소한의 방제시스템이 있어야 합니다.

<인터뷰> 박형주 (경원대 소방방재학과) : "조기에 살수할 수 있는 소화전이나 스프링쿨러와 같은 자동소화설비를 다리 위에 구비해야 합니다. 또 이런 장치는 이미 선진국에서 규제하고 있습니다."

막힌 갓길과 구난 시스템의 부재는 결국, 대형사고로 이어졌습니다.

KBS 뉴스 정성호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한나절 불통…긴급 구난 시스템 시급
    • 입력 2006-10-03 20:59:27
    뉴스 9
<앵커 멘트> 60여명의 사상자가 난 대형 참사였지만 긴급구난 시스템은 작동되지 않았습니다. 갓길이 막혀 구조대 접근이 어려웠고 도로 통제조차 제때 이뤄지지 않았습니다. 정성호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서해대교 연쇄 추돌사고 소식에 구조대와 소방차 등이 현장접근을 시도했습니다. 그러나 서해대교 차로와 갓길엔 이미 수백 대의 차량으로 가득 차 있었습니다. 차량들이 한꺼번에 뒤엉키면서 갓길을 가로막아 구조대의 현장진입을 방해했습니다. <인터뷰> 김득곤 (당진소방서장) : "교통사고가, 화재가 나고 하는 바람에 사람들이 당황해서 피하는 바람에 갓길까지 일반차량이 점유가 돼버린 상황입니다. 그래서 진입이 더 어려운 상황이죠." 구조대와 소방차는 사고 현장에 도착한 것은 사고 발생 20분이 지난 뒤였습니다. 차량에 있던 6명은 이미 숨졌습니다. 차량 통제 시간도 문젭니다. 사고가 난 지 30분이 지나서야 송악 나들목 진입을 통제했고, 1시간 20분이 지나서야 서울방향 상행선 본선을 막고 우회시키기 시작했습니다. <인터뷰> 이병옥 (당진현장대응팀장) : "사고난 것을 도로공사 쪽에서 차단을 빨리 시켜야 되는데. 늦었어요. 타이밍이.그니까 차들이 계속 들어온다고요." 또 7.3킬로미터나 되는 사장교에서는 헬기 등을 이용한 구난활동이 어렵습니다. 따라서 긴급상황에 대비해 최소한의 방제시스템이 있어야 합니다. <인터뷰> 박형주 (경원대 소방방재학과) : "조기에 살수할 수 있는 소화전이나 스프링쿨러와 같은 자동소화설비를 다리 위에 구비해야 합니다. 또 이런 장치는 이미 선진국에서 규제하고 있습니다." 막힌 갓길과 구난 시스템의 부재는 결국, 대형사고로 이어졌습니다. KBS 뉴스 정성호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