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멘트>
상장을 추진하고 있는 생명보험회사들이 1조 5천억 원의 공익기금을 출연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막대한 상장 차익을 계약자와 나눠야 한다는 여론을 무마하기 위한 조처로 풀이됩니다.
박장범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생명보험회사들의 이익단체인 생명보험협회는 오늘 오전 1조 5천억 원 규모의 사회 공헌사업 추진 방안을 발표했습니다.
회사별로 내는 돈은 지정기부금 손비인정 한도액인 세전 이익 5%를 기준으로 정해집니다.
가장 큰 상장 차익이 예상되는 삼성생명은 지정기부금 한도액의 30%를 내기로 했고, 교보생명은 자본 충실화 정도가 회복될 때까지 15%에서 20%를 출연하기로 했습니다.
이 두 회사 외에 상장을 추진하는 생명보험사들은 지정기부금 한도액의 10%를 출연하고 당장 상장할 계획이 없는 나머지 생명보험사들은 5%를 내기로 했습니다.
지급여력비율이 150% 미만인 생보사들은 출연대상에서 제외됩니다.
생보사들이 낸 돈으로는 저소득층 건강보험 지원과 출산장려 캠페인 등 공익사업에 쓰고, 돈 관리를 맡을 공익재단도 별도로 만듭니다.
생보사들이 이처럼 거액의 공익기금을 내놓는 것은 상장으로 인한 천문학적인 차익을 계약자와 나누라는 거센 여론을 피해가기 위한 조처로 보입니다.
생보사들의 공익 기금 출연으로 올 하반기 생보사 상장은 급물살을 타겠지만 시민단체들의 반발에다 상장 차익을 계약자와 나누도록 한 법안이 국회에 제출된 상태여서 적지않은 진통이 예상됩니다.
KBS 뉴스 박장범입니다.
상장을 추진하고 있는 생명보험회사들이 1조 5천억 원의 공익기금을 출연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막대한 상장 차익을 계약자와 나눠야 한다는 여론을 무마하기 위한 조처로 풀이됩니다.
박장범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생명보험회사들의 이익단체인 생명보험협회는 오늘 오전 1조 5천억 원 규모의 사회 공헌사업 추진 방안을 발표했습니다.
회사별로 내는 돈은 지정기부금 손비인정 한도액인 세전 이익 5%를 기준으로 정해집니다.
가장 큰 상장 차익이 예상되는 삼성생명은 지정기부금 한도액의 30%를 내기로 했고, 교보생명은 자본 충실화 정도가 회복될 때까지 15%에서 20%를 출연하기로 했습니다.
이 두 회사 외에 상장을 추진하는 생명보험사들은 지정기부금 한도액의 10%를 출연하고 당장 상장할 계획이 없는 나머지 생명보험사들은 5%를 내기로 했습니다.
지급여력비율이 150% 미만인 생보사들은 출연대상에서 제외됩니다.
생보사들이 낸 돈으로는 저소득층 건강보험 지원과 출산장려 캠페인 등 공익사업에 쓰고, 돈 관리를 맡을 공익재단도 별도로 만듭니다.
생보사들이 이처럼 거액의 공익기금을 내놓는 것은 상장으로 인한 천문학적인 차익을 계약자와 나누라는 거센 여론을 피해가기 위한 조처로 보입니다.
생보사들의 공익 기금 출연으로 올 하반기 생보사 상장은 급물살을 타겠지만 시민단체들의 반발에다 상장 차익을 계약자와 나누도록 한 법안이 국회에 제출된 상태여서 적지않은 진통이 예상됩니다.
KBS 뉴스 박장범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생보사, 1조 5천억 공익 기금 출연
-
- 입력 2007-04-06 16:59:06

<앵커 멘트>
상장을 추진하고 있는 생명보험회사들이 1조 5천억 원의 공익기금을 출연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막대한 상장 차익을 계약자와 나눠야 한다는 여론을 무마하기 위한 조처로 풀이됩니다.
박장범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생명보험회사들의 이익단체인 생명보험협회는 오늘 오전 1조 5천억 원 규모의 사회 공헌사업 추진 방안을 발표했습니다.
회사별로 내는 돈은 지정기부금 손비인정 한도액인 세전 이익 5%를 기준으로 정해집니다.
가장 큰 상장 차익이 예상되는 삼성생명은 지정기부금 한도액의 30%를 내기로 했고, 교보생명은 자본 충실화 정도가 회복될 때까지 15%에서 20%를 출연하기로 했습니다.
이 두 회사 외에 상장을 추진하는 생명보험사들은 지정기부금 한도액의 10%를 출연하고 당장 상장할 계획이 없는 나머지 생명보험사들은 5%를 내기로 했습니다.
지급여력비율이 150% 미만인 생보사들은 출연대상에서 제외됩니다.
생보사들이 낸 돈으로는 저소득층 건강보험 지원과 출산장려 캠페인 등 공익사업에 쓰고, 돈 관리를 맡을 공익재단도 별도로 만듭니다.
생보사들이 이처럼 거액의 공익기금을 내놓는 것은 상장으로 인한 천문학적인 차익을 계약자와 나누라는 거센 여론을 피해가기 위한 조처로 보입니다.
생보사들의 공익 기금 출연으로 올 하반기 생보사 상장은 급물살을 타겠지만 시민단체들의 반발에다 상장 차익을 계약자와 나누도록 한 법안이 국회에 제출된 상태여서 적지않은 진통이 예상됩니다.
KBS 뉴스 박장범입니다.
-
-
박장범 기자 newsguy@kbs.co.kr
박장범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