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시대 ‘효’ 의미는?

입력 2007.05.08 (08:08) 수정 2007.05.08 (11:3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오늘은 어버이 날입니다.

해마다 이때쯤이면 어버이에 대한 '효'를 더욱 강조하는데요,

요즘은 '효'에 대한 생각이 많이 바뀌었다고 합니다.

이화연 기자가 우리 시대 '효' 문화에 대한 생각을 알아봤습니다.

<리포트>

노인들은 스스로를 어떻게 바라보고 있을까?

세월을 헤쳐온 연륜과 지혜를 존중받아야 한다는 생각이 많습니다.

<인터뷰> 장정규(74살) : "다 내 부모도 있고 그러니까 노인들을 존경스럽게 생각하는 것 같아요"

<인터뷰> 은복희(70살) : "노인들은 존경도 받아야 하고 때로는 불편한 노인은 보호도 받고 그래야죠."

그러나 젊은 사람들의 생각은 다릅니다.

전북 정읍시민 6백여 명에게 '노인'에 대한 생각을 물어봤더니 60대 이하의 세대는 대부분 노인을 존경의 대상이 아닌 측은한 대상으로 바라봤습니다.

'우리 사회에서 '효'가 실천되고 있을까'라는 질문엔 부정적인 답변이 많았습니다.

특히 강요하는 효 문화는 무조건 따르지 않겠다는 생각이 많습니다.

<인터뷰> 손은지(18살) : "강요하면 제가 몸에서 안 나올 것 같고요. 그냥 제 스스로 나오는 게 더 좋은 효도라고 생각해요."

가장 이해할 수 없는 '효 문화'로는 장손이 노부모를 부양하는 것을 꼽았습니다.

<인터뷰> 남궁단(전북노인학대예방센터장) : "부모님을 봉양하는 데 있어서 기존의 우리 관념상 제도적으로 장손이 책임진다는 개념은 바뀌져야 된다는 증표라 생각이 듭니다."

노년기에 자녀와 함께 살고 싶지 않다는 응답자가 70퍼센트를 넘었고, 비율은 나이가 들수록 더욱 높았습니다.

KBS 뉴스 이화연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우리 시대 ‘효’ 의미는?
    • 입력 2007-05-08 07:22:40
    • 수정2007-05-08 11:36:27
    뉴스광장
<앵커 멘트> 오늘은 어버이 날입니다. 해마다 이때쯤이면 어버이에 대한 '효'를 더욱 강조하는데요, 요즘은 '효'에 대한 생각이 많이 바뀌었다고 합니다. 이화연 기자가 우리 시대 '효' 문화에 대한 생각을 알아봤습니다. <리포트> 노인들은 스스로를 어떻게 바라보고 있을까? 세월을 헤쳐온 연륜과 지혜를 존중받아야 한다는 생각이 많습니다. <인터뷰> 장정규(74살) : "다 내 부모도 있고 그러니까 노인들을 존경스럽게 생각하는 것 같아요" <인터뷰> 은복희(70살) : "노인들은 존경도 받아야 하고 때로는 불편한 노인은 보호도 받고 그래야죠." 그러나 젊은 사람들의 생각은 다릅니다. 전북 정읍시민 6백여 명에게 '노인'에 대한 생각을 물어봤더니 60대 이하의 세대는 대부분 노인을 존경의 대상이 아닌 측은한 대상으로 바라봤습니다. '우리 사회에서 '효'가 실천되고 있을까'라는 질문엔 부정적인 답변이 많았습니다. 특히 강요하는 효 문화는 무조건 따르지 않겠다는 생각이 많습니다. <인터뷰> 손은지(18살) : "강요하면 제가 몸에서 안 나올 것 같고요. 그냥 제 스스로 나오는 게 더 좋은 효도라고 생각해요." 가장 이해할 수 없는 '효 문화'로는 장손이 노부모를 부양하는 것을 꼽았습니다. <인터뷰> 남궁단(전북노인학대예방센터장) : "부모님을 봉양하는 데 있어서 기존의 우리 관념상 제도적으로 장손이 책임진다는 개념은 바뀌져야 된다는 증표라 생각이 듭니다." 노년기에 자녀와 함께 살고 싶지 않다는 응답자가 70퍼센트를 넘었고, 비율은 나이가 들수록 더욱 높았습니다. KBS 뉴스 이화연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