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들은 흔히 생각하는 것처럼 수동적인 존재가 아니라 형제 식물과 낯선 식물을 구별해 경쟁의 강도를 조절한다고 캐나다 연구진이 밝혔습니다.
캐나다 먹마스터 대학 연구진은 식물을 한 화분에 낯선 식물과 함께 심은 경우 뿌리를 마구 뻗어 수분과 영양분을 선점하며 치열한 경쟁을 벌이지만, 형제격인 식물들과 함께 심을 경우엔 뿌리의 길이를 늘리지 않고 매우 친절하게 자리를 내 준다는 사실을 발견했다고 밝혔습니다.
이 대학의 수전 더들리 교수는 형제를 알아보는 능력은 동물 사이엔 일반적인 것이지만 식물에게도 이런 능력이 있다는 것은 처음 밝혀진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그는 이 연구가 식물에 인지와 기억 기능은 없을지 몰라도 혈연에 대한 이타행위 같은 복잡한 사회적 행동을 할 능력은 있다는 것을 보여준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 연구는 영국 생물학회 회지 최신호에 발표됐습니다.
캐나다 먹마스터 대학 연구진은 식물을 한 화분에 낯선 식물과 함께 심은 경우 뿌리를 마구 뻗어 수분과 영양분을 선점하며 치열한 경쟁을 벌이지만, 형제격인 식물들과 함께 심을 경우엔 뿌리의 길이를 늘리지 않고 매우 친절하게 자리를 내 준다는 사실을 발견했다고 밝혔습니다.
이 대학의 수전 더들리 교수는 형제를 알아보는 능력은 동물 사이엔 일반적인 것이지만 식물에게도 이런 능력이 있다는 것은 처음 밝혀진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그는 이 연구가 식물에 인지와 기억 기능은 없을지 몰라도 혈연에 대한 이타행위 같은 복잡한 사회적 행동을 할 능력은 있다는 것을 보여준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 연구는 영국 생물학회 회지 최신호에 발표됐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식물도 제 형제 알아본다”
-
- 입력 2007-06-15 18:36:54
- 수정2007-06-15 18:37:36
식물들은 흔히 생각하는 것처럼 수동적인 존재가 아니라 형제 식물과 낯선 식물을 구별해 경쟁의 강도를 조절한다고 캐나다 연구진이 밝혔습니다.
캐나다 먹마스터 대학 연구진은 식물을 한 화분에 낯선 식물과 함께 심은 경우 뿌리를 마구 뻗어 수분과 영양분을 선점하며 치열한 경쟁을 벌이지만, 형제격인 식물들과 함께 심을 경우엔 뿌리의 길이를 늘리지 않고 매우 친절하게 자리를 내 준다는 사실을 발견했다고 밝혔습니다.
이 대학의 수전 더들리 교수는 형제를 알아보는 능력은 동물 사이엔 일반적인 것이지만 식물에게도 이런 능력이 있다는 것은 처음 밝혀진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그는 이 연구가 식물에 인지와 기억 기능은 없을지 몰라도 혈연에 대한 이타행위 같은 복잡한 사회적 행동을 할 능력은 있다는 것을 보여준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 연구는 영국 생물학회 회지 최신호에 발표됐습니다.
-
-
김태선 기자 tskim0369@gmail.com
김태선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