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부 50% “아들 없어도 상관없다”
입력 2007.10.29 (22:14)
수정 2007.10.30 (00:4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우리사회의 뿌리깊은 아들선호사상이 갈수록 옅어지고 있다는 조사결과가 나왔습니다.
출산이 가능한 주부 중 절반가량은 아들이 없어도 상관없다고 대답했는데요.
최대수 기자가 전합니다.
<리포트>
시청자 여러분들은 아들이 꼭 있어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
보건사회연구원이 출산이 가능한 연령대인 44세 이하 주부들에게 물어봤습니다.
반드시 필요하다는 답이 1991년에는 10명 중 4명꼴이었는데, 해마다 줄어들더니 지난해엔 10%로 떨어졌습니다.
반대로 아들이 없어도 상관없다는 대답은 같은 기간 28%에서 50%로 배 가까이 늘었습니다.
이번엔 왜 아들이 꼭 필요하냐고 물었습니다.
그랬더니 심리적인 만족감과 가정의 행복 때문이라는 응답자가 가장 많았고요.
집안의 대를 이어야 하기 때문이라는 응답이 그 뒤를 이었습니다.
자식에게 노후를 기대거나 경제적 도움을 바라는 사람은 의외로 적었습니다.
그래도 이왕이면 아들이 있는 게 좋다는 응답도 39%로 나타나, 강도는 낮아졌지만, 여전히 남아 선호 사상의 뿌리는 남아 있음을 보여줬습니다.
KBS 뉴스 최대수입니다.
우리사회의 뿌리깊은 아들선호사상이 갈수록 옅어지고 있다는 조사결과가 나왔습니다.
출산이 가능한 주부 중 절반가량은 아들이 없어도 상관없다고 대답했는데요.
최대수 기자가 전합니다.
<리포트>
시청자 여러분들은 아들이 꼭 있어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
보건사회연구원이 출산이 가능한 연령대인 44세 이하 주부들에게 물어봤습니다.
반드시 필요하다는 답이 1991년에는 10명 중 4명꼴이었는데, 해마다 줄어들더니 지난해엔 10%로 떨어졌습니다.
반대로 아들이 없어도 상관없다는 대답은 같은 기간 28%에서 50%로 배 가까이 늘었습니다.
이번엔 왜 아들이 꼭 필요하냐고 물었습니다.
그랬더니 심리적인 만족감과 가정의 행복 때문이라는 응답자가 가장 많았고요.
집안의 대를 이어야 하기 때문이라는 응답이 그 뒤를 이었습니다.
자식에게 노후를 기대거나 경제적 도움을 바라는 사람은 의외로 적었습니다.
그래도 이왕이면 아들이 있는 게 좋다는 응답도 39%로 나타나, 강도는 낮아졌지만, 여전히 남아 선호 사상의 뿌리는 남아 있음을 보여줬습니다.
KBS 뉴스 최대수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주부 50% “아들 없어도 상관없다”
-
- 입력 2007-10-29 21:20:18
- 수정2007-10-30 00:44:44

<앵커 멘트>
우리사회의 뿌리깊은 아들선호사상이 갈수록 옅어지고 있다는 조사결과가 나왔습니다.
출산이 가능한 주부 중 절반가량은 아들이 없어도 상관없다고 대답했는데요.
최대수 기자가 전합니다.
<리포트>
시청자 여러분들은 아들이 꼭 있어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
보건사회연구원이 출산이 가능한 연령대인 44세 이하 주부들에게 물어봤습니다.
반드시 필요하다는 답이 1991년에는 10명 중 4명꼴이었는데, 해마다 줄어들더니 지난해엔 10%로 떨어졌습니다.
반대로 아들이 없어도 상관없다는 대답은 같은 기간 28%에서 50%로 배 가까이 늘었습니다.
이번엔 왜 아들이 꼭 필요하냐고 물었습니다.
그랬더니 심리적인 만족감과 가정의 행복 때문이라는 응답자가 가장 많았고요.
집안의 대를 이어야 하기 때문이라는 응답이 그 뒤를 이었습니다.
자식에게 노후를 기대거나 경제적 도움을 바라는 사람은 의외로 적었습니다.
그래도 이왕이면 아들이 있는 게 좋다는 응답도 39%로 나타나, 강도는 낮아졌지만, 여전히 남아 선호 사상의 뿌리는 남아 있음을 보여줬습니다.
KBS 뉴스 최대수입니다.
-
-
최대수 기자 freehead@kbs.co.kr
최대수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