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멘트>
한때 대학마다 경쟁처럼 특이한 이름과 전공의 이색학과를 설립했던 적이 있습니다.
그런데 특이한 이름 때문에 유명세를 탔던 이들 이색학과 가운데 지금까지 살아남아 있는 학과는 별로 많지 않다고 합니다.
왜 그런지 이호을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녹취> 9시 뉴스: "스타일리스트과가 신설됐습니다."
이색학과 설립 붐을 타고 이 대학은 지난 2004년, 컴퓨터게임과를 개설했습니다.
개설 당시 학교측은 높은 취업률을 보장한다고 대대적으로 선전했습니다.
하지만 불과 4년 만에 컴퓨터게임과는 신입생 모집을 중단했습니다.
<인터뷰> 대학 관계자: "공급 과잉으로 더 이상 IT산업의 부흥이 지금 현재 지방에선 기대하기 어려워 컴퓨터 게임과만 아니라 컴퓨터학과도 폐지했습니다."
피해는 고스란히 학생들 몫입니다.
특히 군 제대 후 학교에 돌아오고 나서 자신이 다니던 학과가 폐지된 사실을 알게 된 복학생들은 황당할 수밖에 없습니다.
<인터뷰> 박준구(OO대 컴퓨터게임과 학생): "복학할 거라고 갔는데 컴퓨터게임과라고 하니까 복학신청서가 아니라 전과 신청서를 주더라고요."
자신의 뜻과는 무관하게 진로가 뒤바뀌게 된 것입니다.
<인터뷰> 손주환(OO대 사회복지학과 전과생): "제 꿈이 원래 게임기획자였는데, 다른 길을 가야된다는 게 아쉬웠고요."
심지어 개설하자마자 사라지는 학과도 있습니다.
이 대학은 지난해 정원 20명의 레이싱모델학과를 신설한다며, 모집공고를 냈다가 합격자 전형도중 해당학과를 없애버렸습니다.
합격자가 5명밖에 안 된다는 게 이유였습니다.
2000년 이후 전국 75개 대학이 118개의 이색학과를 개설했습니다.
하지만 모집정원 미달, 불투명한 전망, 대학 재정을 악화시킨다는 이유 등으로 60개 이상의 학과가 슬그머니 사라졌습니다.
<인터뷰> 이승근(한국전문대학 교육협회): "실질적으로 시류에 편승해서 인기 위주의 학과를 개설하다보면 그 부분이 수요와 맞지 않아서/(0054 뒷부분)결국 신설학과가 오래 유지되지 못하는..."
물론, 제대로 자리를 잡아가는 이색학과들도 있습니다.
지난 2005년 개설된 동서울대의 시계주얼리과.
올해 입시 경쟁률은 12대 1이었고, 지난해 졸업생 취업률은 93%가 넘습니다.
관련업계의 구체적인 수요 조사에 근거해 학과를 만든 결과라는 게 대학 측의 설명입니다.
<인터뷰> 조선형(동서울대 시계주얼리과 교수): "다른 대학들은 학교의 필요로 학과를 만드는 데 비해 저희 시계주얼리과는 시계주얼리업계의 주문에 의해서 만들었습니다."
청강문화산업대학은 무려 26개의 이색학과가 있지만 개설 뒤 폐지한 학과는 하나도 없습니다.
이 대학 역시 산업현장의 요구에 부응한 맞춤형 실습 교육이 장수의 비결이라고 합니다.
<인터뷰> 구근회(청강문화산업대 교수): "저희는 직업의 전문화를 위한 교육을 중점적으로 하고 있습니다."
학생들도 대학이나 학과를 선택할 때 이름보다는 이들이 얼마나 시장 수요에 부응하고 있는지부터 세밀하게 따져보는 지혜가 필요해 보입니다.
KBS 뉴스 이호을입니다.
한때 대학마다 경쟁처럼 특이한 이름과 전공의 이색학과를 설립했던 적이 있습니다.
그런데 특이한 이름 때문에 유명세를 탔던 이들 이색학과 가운데 지금까지 살아남아 있는 학과는 별로 많지 않다고 합니다.
왜 그런지 이호을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녹취> 9시 뉴스: "스타일리스트과가 신설됐습니다."
이색학과 설립 붐을 타고 이 대학은 지난 2004년, 컴퓨터게임과를 개설했습니다.
개설 당시 학교측은 높은 취업률을 보장한다고 대대적으로 선전했습니다.
하지만 불과 4년 만에 컴퓨터게임과는 신입생 모집을 중단했습니다.
<인터뷰> 대학 관계자: "공급 과잉으로 더 이상 IT산업의 부흥이 지금 현재 지방에선 기대하기 어려워 컴퓨터 게임과만 아니라 컴퓨터학과도 폐지했습니다."
피해는 고스란히 학생들 몫입니다.
특히 군 제대 후 학교에 돌아오고 나서 자신이 다니던 학과가 폐지된 사실을 알게 된 복학생들은 황당할 수밖에 없습니다.
<인터뷰> 박준구(OO대 컴퓨터게임과 학생): "복학할 거라고 갔는데 컴퓨터게임과라고 하니까 복학신청서가 아니라 전과 신청서를 주더라고요."
자신의 뜻과는 무관하게 진로가 뒤바뀌게 된 것입니다.
<인터뷰> 손주환(OO대 사회복지학과 전과생): "제 꿈이 원래 게임기획자였는데, 다른 길을 가야된다는 게 아쉬웠고요."
심지어 개설하자마자 사라지는 학과도 있습니다.
이 대학은 지난해 정원 20명의 레이싱모델학과를 신설한다며, 모집공고를 냈다가 합격자 전형도중 해당학과를 없애버렸습니다.
합격자가 5명밖에 안 된다는 게 이유였습니다.
2000년 이후 전국 75개 대학이 118개의 이색학과를 개설했습니다.
하지만 모집정원 미달, 불투명한 전망, 대학 재정을 악화시킨다는 이유 등으로 60개 이상의 학과가 슬그머니 사라졌습니다.
<인터뷰> 이승근(한국전문대학 교육협회): "실질적으로 시류에 편승해서 인기 위주의 학과를 개설하다보면 그 부분이 수요와 맞지 않아서/(0054 뒷부분)결국 신설학과가 오래 유지되지 못하는..."
물론, 제대로 자리를 잡아가는 이색학과들도 있습니다.
지난 2005년 개설된 동서울대의 시계주얼리과.
올해 입시 경쟁률은 12대 1이었고, 지난해 졸업생 취업률은 93%가 넘습니다.
관련업계의 구체적인 수요 조사에 근거해 학과를 만든 결과라는 게 대학 측의 설명입니다.
<인터뷰> 조선형(동서울대 시계주얼리과 교수): "다른 대학들은 학교의 필요로 학과를 만드는 데 비해 저희 시계주얼리과는 시계주얼리업계의 주문에 의해서 만들었습니다."
청강문화산업대학은 무려 26개의 이색학과가 있지만 개설 뒤 폐지한 학과는 하나도 없습니다.
이 대학 역시 산업현장의 요구에 부응한 맞춤형 실습 교육이 장수의 비결이라고 합니다.
<인터뷰> 구근회(청강문화산업대 교수): "저희는 직업의 전문화를 위한 교육을 중점적으로 하고 있습니다."
학생들도 대학이나 학과를 선택할 때 이름보다는 이들이 얼마나 시장 수요에 부응하고 있는지부터 세밀하게 따져보는 지혜가 필요해 보입니다.
KBS 뉴스 이호을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뉴스 후 오늘] 대학 이색 학과의 ‘명암’
-
- 입력 2008-03-07 20:22:52
<앵커 멘트>
한때 대학마다 경쟁처럼 특이한 이름과 전공의 이색학과를 설립했던 적이 있습니다.
그런데 특이한 이름 때문에 유명세를 탔던 이들 이색학과 가운데 지금까지 살아남아 있는 학과는 별로 많지 않다고 합니다.
왜 그런지 이호을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녹취> 9시 뉴스: "스타일리스트과가 신설됐습니다."
이색학과 설립 붐을 타고 이 대학은 지난 2004년, 컴퓨터게임과를 개설했습니다.
개설 당시 학교측은 높은 취업률을 보장한다고 대대적으로 선전했습니다.
하지만 불과 4년 만에 컴퓨터게임과는 신입생 모집을 중단했습니다.
<인터뷰> 대학 관계자: "공급 과잉으로 더 이상 IT산업의 부흥이 지금 현재 지방에선 기대하기 어려워 컴퓨터 게임과만 아니라 컴퓨터학과도 폐지했습니다."
피해는 고스란히 학생들 몫입니다.
특히 군 제대 후 학교에 돌아오고 나서 자신이 다니던 학과가 폐지된 사실을 알게 된 복학생들은 황당할 수밖에 없습니다.
<인터뷰> 박준구(OO대 컴퓨터게임과 학생): "복학할 거라고 갔는데 컴퓨터게임과라고 하니까 복학신청서가 아니라 전과 신청서를 주더라고요."
자신의 뜻과는 무관하게 진로가 뒤바뀌게 된 것입니다.
<인터뷰> 손주환(OO대 사회복지학과 전과생): "제 꿈이 원래 게임기획자였는데, 다른 길을 가야된다는 게 아쉬웠고요."
심지어 개설하자마자 사라지는 학과도 있습니다.
이 대학은 지난해 정원 20명의 레이싱모델학과를 신설한다며, 모집공고를 냈다가 합격자 전형도중 해당학과를 없애버렸습니다.
합격자가 5명밖에 안 된다는 게 이유였습니다.
2000년 이후 전국 75개 대학이 118개의 이색학과를 개설했습니다.
하지만 모집정원 미달, 불투명한 전망, 대학 재정을 악화시킨다는 이유 등으로 60개 이상의 학과가 슬그머니 사라졌습니다.
<인터뷰> 이승근(한국전문대학 교육협회): "실질적으로 시류에 편승해서 인기 위주의 학과를 개설하다보면 그 부분이 수요와 맞지 않아서/(0054 뒷부분)결국 신설학과가 오래 유지되지 못하는..."
물론, 제대로 자리를 잡아가는 이색학과들도 있습니다.
지난 2005년 개설된 동서울대의 시계주얼리과.
올해 입시 경쟁률은 12대 1이었고, 지난해 졸업생 취업률은 93%가 넘습니다.
관련업계의 구체적인 수요 조사에 근거해 학과를 만든 결과라는 게 대학 측의 설명입니다.
<인터뷰> 조선형(동서울대 시계주얼리과 교수): "다른 대학들은 학교의 필요로 학과를 만드는 데 비해 저희 시계주얼리과는 시계주얼리업계의 주문에 의해서 만들었습니다."
청강문화산업대학은 무려 26개의 이색학과가 있지만 개설 뒤 폐지한 학과는 하나도 없습니다.
이 대학 역시 산업현장의 요구에 부응한 맞춤형 실습 교육이 장수의 비결이라고 합니다.
<인터뷰> 구근회(청강문화산업대 교수): "저희는 직업의 전문화를 위한 교육을 중점적으로 하고 있습니다."
학생들도 대학이나 학과를 선택할 때 이름보다는 이들이 얼마나 시장 수요에 부응하고 있는지부터 세밀하게 따져보는 지혜가 필요해 보입니다.
KBS 뉴스 이호을입니다.
-
-
이호을 기자 helee@kbs.co.kr
이호을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