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멘트>
이같은 경기둔화로 금리인하와 추경 편성 등 정부의 경기 부양책은 그만큼 힘을 받게 됐습니다.
박종훈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가능한 모든 정책 수단을 동원해 경기 부양을 꾀하고 있는 정부.
이번에 나타난 성장률 둔화가 오히려 정부의 경기 부양책에 힘을 실어주고 있습니다.
<인터뷰> 임종룡(기획재정부 경제정책국장) : "감세나 규제완화를 통해서 기업투자를 활성화해서 내수를 진작해 나가는데 주력하겠습니다."
당장 지난 2006년 추경편성을 엄격하게 제한하는 취지로 한나라당이 주장해 개정한 국가재정법을 재개정 할수 없다며 추경편성에 이견을 보이고 있는 여당을 설득할 명분을 찾게됐습니다.
또 물가상승을 우려해 8개월째 정책금리를 동결하고 있는 한국은행에게도 금리인하 압박수단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커졌습니다.
그러나 지금 당장 부양책을 쓴다 해도 본격적인 효과는 5,6개월 뒤에나 나타나는 만큼 올해 경제성장률을 끌어올리기는 쉽지 않습니다.
또 환율이나 금리 정책을 통해 인위적인 경기 부양책을 쓰는 것도 물가불안을 키워 오히려 내수를 위축시키는 부작용을 불러올 우려도 있습니다.
<인터뷰> 한재준(인하대학교 교수) : "금리를 낮출 경우 자산가격 거품이 더 커질 수 있고 환율이 높아지면 물가 상승이 가속화될 수 있습니다. 이 때문에 정부가 부양책을 쓰는데 신중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이 때문에 물가와 성장률이라는 두 마리의 토끼를 놓고 저울질하던 금융통화위원회가 다음달 과연 금리인하 결정을 내릴 수 있을 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박종훈입니다.
이같은 경기둔화로 금리인하와 추경 편성 등 정부의 경기 부양책은 그만큼 힘을 받게 됐습니다.
박종훈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가능한 모든 정책 수단을 동원해 경기 부양을 꾀하고 있는 정부.
이번에 나타난 성장률 둔화가 오히려 정부의 경기 부양책에 힘을 실어주고 있습니다.
<인터뷰> 임종룡(기획재정부 경제정책국장) : "감세나 규제완화를 통해서 기업투자를 활성화해서 내수를 진작해 나가는데 주력하겠습니다."
당장 지난 2006년 추경편성을 엄격하게 제한하는 취지로 한나라당이 주장해 개정한 국가재정법을 재개정 할수 없다며 추경편성에 이견을 보이고 있는 여당을 설득할 명분을 찾게됐습니다.
또 물가상승을 우려해 8개월째 정책금리를 동결하고 있는 한국은행에게도 금리인하 압박수단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커졌습니다.
그러나 지금 당장 부양책을 쓴다 해도 본격적인 효과는 5,6개월 뒤에나 나타나는 만큼 올해 경제성장률을 끌어올리기는 쉽지 않습니다.
또 환율이나 금리 정책을 통해 인위적인 경기 부양책을 쓰는 것도 물가불안을 키워 오히려 내수를 위축시키는 부작용을 불러올 우려도 있습니다.
<인터뷰> 한재준(인하대학교 교수) : "금리를 낮출 경우 자산가격 거품이 더 커질 수 있고 환율이 높아지면 물가 상승이 가속화될 수 있습니다. 이 때문에 정부가 부양책을 쓰는데 신중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이 때문에 물가와 성장률이라는 두 마리의 토끼를 놓고 저울질하던 금융통화위원회가 다음달 과연 금리인하 결정을 내릴 수 있을 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박종훈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전방위 ‘경기부양책’ 힘 받나?
-
- 입력 2008-04-25 20:52:05

<앵커 멘트>
이같은 경기둔화로 금리인하와 추경 편성 등 정부의 경기 부양책은 그만큼 힘을 받게 됐습니다.
박종훈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가능한 모든 정책 수단을 동원해 경기 부양을 꾀하고 있는 정부.
이번에 나타난 성장률 둔화가 오히려 정부의 경기 부양책에 힘을 실어주고 있습니다.
<인터뷰> 임종룡(기획재정부 경제정책국장) : "감세나 규제완화를 통해서 기업투자를 활성화해서 내수를 진작해 나가는데 주력하겠습니다."
당장 지난 2006년 추경편성을 엄격하게 제한하는 취지로 한나라당이 주장해 개정한 국가재정법을 재개정 할수 없다며 추경편성에 이견을 보이고 있는 여당을 설득할 명분을 찾게됐습니다.
또 물가상승을 우려해 8개월째 정책금리를 동결하고 있는 한국은행에게도 금리인하 압박수단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커졌습니다.
그러나 지금 당장 부양책을 쓴다 해도 본격적인 효과는 5,6개월 뒤에나 나타나는 만큼 올해 경제성장률을 끌어올리기는 쉽지 않습니다.
또 환율이나 금리 정책을 통해 인위적인 경기 부양책을 쓰는 것도 물가불안을 키워 오히려 내수를 위축시키는 부작용을 불러올 우려도 있습니다.
<인터뷰> 한재준(인하대학교 교수) : "금리를 낮출 경우 자산가격 거품이 더 커질 수 있고 환율이 높아지면 물가 상승이 가속화될 수 있습니다. 이 때문에 정부가 부양책을 쓰는데 신중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이 때문에 물가와 성장률이라는 두 마리의 토끼를 놓고 저울질하던 금융통화위원회가 다음달 과연 금리인하 결정을 내릴 수 있을 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박종훈입니다.
-
-
박종훈 기자 jonghoon@kbs.co.kr
박종훈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