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멘트>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남북관계에 돌파구를 찾기가 쉽지 않습니다.
남과 북에 연락사무소를 설치하자는 이명박 대통령의 제안을 북한이 거부했습니다.
그러면서, 두차례 남북 정상회담의 합의부터 존중하라고 촉구했습니다.
먼저, 조성원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이명박 대통령은 지난 18일 서울과 평양에 상주 연락사무소를 세우는 방안을 제안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방미중 워싱턴 포스트와의 인터뷰 형식을 통해서입니다.
<녹취>이동관(청와대대변인/지난 18일) : "진정성을 갖고 대화를 하겠다고하면 이같은 건설적인 제안을 북한이 거부할 이유가 없다."
이에 대한 북측의 첫 반응, 오늘자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거부 의사를 분명히 했습니다.
연락사무소 설치 제안을, 남북관계 악화의 책임을 회피하고 여론의 시선을 다른 곳으로 돌리려는 얕은수라고 평가절하했습니다.
남과 북이 그동안 이룬 성과를 뒤엎다 어려움에 처하자 꺼내든 '궁여지책', 또 과거 정부들도 제안했던 '반통일골동품'이라고도 폄하했습니다.
남북관계를 민족관계가 아니라 국가간 관계로 만들고 분단을 영구화하는 것이라면서 연락사무소 자체에 대한 부정적 시각도 분명히 했습니다.
노동신문은 특히 지난 2천년 6.15 공동선언과 지난해 10.4 선언에 대한 입장부터 바로 가지라고 주장해 대북 정책의 기조 변화를 요구했습니다.
이에대해 청와대는 오늘 실질적인 대화와 협력을 위해 상시적인 채널이 있어야 한다는 취지에서 구상한 것이라며 북측의 거부의사에 대해 일희일비할 필요가 없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조성원입니다.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남북관계에 돌파구를 찾기가 쉽지 않습니다.
남과 북에 연락사무소를 설치하자는 이명박 대통령의 제안을 북한이 거부했습니다.
그러면서, 두차례 남북 정상회담의 합의부터 존중하라고 촉구했습니다.
먼저, 조성원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이명박 대통령은 지난 18일 서울과 평양에 상주 연락사무소를 세우는 방안을 제안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방미중 워싱턴 포스트와의 인터뷰 형식을 통해서입니다.
<녹취>이동관(청와대대변인/지난 18일) : "진정성을 갖고 대화를 하겠다고하면 이같은 건설적인 제안을 북한이 거부할 이유가 없다."
이에 대한 북측의 첫 반응, 오늘자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거부 의사를 분명히 했습니다.
연락사무소 설치 제안을, 남북관계 악화의 책임을 회피하고 여론의 시선을 다른 곳으로 돌리려는 얕은수라고 평가절하했습니다.
남과 북이 그동안 이룬 성과를 뒤엎다 어려움에 처하자 꺼내든 '궁여지책', 또 과거 정부들도 제안했던 '반통일골동품'이라고도 폄하했습니다.
남북관계를 민족관계가 아니라 국가간 관계로 만들고 분단을 영구화하는 것이라면서 연락사무소 자체에 대한 부정적 시각도 분명히 했습니다.
노동신문은 특히 지난 2천년 6.15 공동선언과 지난해 10.4 선언에 대한 입장부터 바로 가지라고 주장해 대북 정책의 기조 변화를 요구했습니다.
이에대해 청와대는 오늘 실질적인 대화와 협력을 위해 상시적인 채널이 있어야 한다는 취지에서 구상한 것이라며 북측의 거부의사에 대해 일희일비할 필요가 없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조성원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북한, ‘남북연락사무소 설치’ 제안 거부
-
- 입력 2008-04-26 20:51:10

<앵커 멘트>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남북관계에 돌파구를 찾기가 쉽지 않습니다.
남과 북에 연락사무소를 설치하자는 이명박 대통령의 제안을 북한이 거부했습니다.
그러면서, 두차례 남북 정상회담의 합의부터 존중하라고 촉구했습니다.
먼저, 조성원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이명박 대통령은 지난 18일 서울과 평양에 상주 연락사무소를 세우는 방안을 제안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방미중 워싱턴 포스트와의 인터뷰 형식을 통해서입니다.
<녹취>이동관(청와대대변인/지난 18일) : "진정성을 갖고 대화를 하겠다고하면 이같은 건설적인 제안을 북한이 거부할 이유가 없다."
이에 대한 북측의 첫 반응, 오늘자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거부 의사를 분명히 했습니다.
연락사무소 설치 제안을, 남북관계 악화의 책임을 회피하고 여론의 시선을 다른 곳으로 돌리려는 얕은수라고 평가절하했습니다.
남과 북이 그동안 이룬 성과를 뒤엎다 어려움에 처하자 꺼내든 '궁여지책', 또 과거 정부들도 제안했던 '반통일골동품'이라고도 폄하했습니다.
남북관계를 민족관계가 아니라 국가간 관계로 만들고 분단을 영구화하는 것이라면서 연락사무소 자체에 대한 부정적 시각도 분명히 했습니다.
노동신문은 특히 지난 2천년 6.15 공동선언과 지난해 10.4 선언에 대한 입장부터 바로 가지라고 주장해 대북 정책의 기조 변화를 요구했습니다.
이에대해 청와대는 오늘 실질적인 대화와 협력을 위해 상시적인 채널이 있어야 한다는 취지에서 구상한 것이라며 북측의 거부의사에 대해 일희일비할 필요가 없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조성원입니다.
-
-
조성원 기자 sungwonc@kbs.co.kr
조성원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