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 사는 이야기] ‘마음으로 낳아 가슴에 묻다’

입력 2008.07.19 (21:51) 수정 2008.07.19 (21:5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한국에서 입양한 아들이 희귀병을 앓자 20년간 극진히 보살핀 노르웨이 양부모가 있습니다.
아들은 세상을 떠났지만, 이들을 한국의 환자들을 위해 봉사활동을 펼치고 있습니다.
이승철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그론빅 씨 부부가 둘째 아들 이새롬, 아이나르를 입양한 것은 지난 88년.

입양 당시 건강하던 아이나르는 만 2살 반을 넘기면서 손발이 굳어가고 잘 서지 못하는 증상을 보이기 시작했습니다.

헌터 증후군.

다당을 분해하는 효소가 부족해 온 몸이 굳어지면서 성장이 멈추고, 대부분 10대 이전에 죽는 것으로 알려진 병.

어머니는 박사학위를, 아버지는 회사 중역자리를 포기하고 20년간 아들의 손과 발이 돼야 했습니다.

<인터뷰> 그론빅 씨(엄마) : "나는 후회하지 않는다. 나는 그 애가 아니었다면 가지지 못할 많은 일들을 했다."

부부는 외국에서 전문가를 초청해 세미나를 여는 등 희귀병을 알리는 전도사 역할도 했습니다.

<인터뷰> 하이베르크(교수) : "우리는 이런 특별한 종류의 장애에 대해 과거보다 더 잘알고 있다. 아이나르의 부모 특히 엄마 때문에 훨씬 조직화 됐다."

2년 전 세상을 떠난 둘째를 포함해 자녀 셋을 모두 한국에서 입양한 그론빅 씨 부부는 지난 11일 처음으로 아이들의 모국을 찾았습니다.

한국에서도 헌터 증후군 환자들을 만나 격려하는 등 못다한 사랑을 전하기 위해섭니다.

<인터뷰> 유인화(헌터 증후군 환우회 회장) : "내 아이가 이미 사망했는데, 정말 감사하고, 잊지 못할 것 같아요...영원히."

KBS 뉴스 이승철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사람 사는 이야기] ‘마음으로 낳아 가슴에 묻다’
    • 입력 2008-07-19 21:19:16
    • 수정2008-07-19 21:58:41
    뉴스 9
<앵커 멘트> 한국에서 입양한 아들이 희귀병을 앓자 20년간 극진히 보살핀 노르웨이 양부모가 있습니다. 아들은 세상을 떠났지만, 이들을 한국의 환자들을 위해 봉사활동을 펼치고 있습니다. 이승철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그론빅 씨 부부가 둘째 아들 이새롬, 아이나르를 입양한 것은 지난 88년. 입양 당시 건강하던 아이나르는 만 2살 반을 넘기면서 손발이 굳어가고 잘 서지 못하는 증상을 보이기 시작했습니다. 헌터 증후군. 다당을 분해하는 효소가 부족해 온 몸이 굳어지면서 성장이 멈추고, 대부분 10대 이전에 죽는 것으로 알려진 병. 어머니는 박사학위를, 아버지는 회사 중역자리를 포기하고 20년간 아들의 손과 발이 돼야 했습니다. <인터뷰> 그론빅 씨(엄마) : "나는 후회하지 않는다. 나는 그 애가 아니었다면 가지지 못할 많은 일들을 했다." 부부는 외국에서 전문가를 초청해 세미나를 여는 등 희귀병을 알리는 전도사 역할도 했습니다. <인터뷰> 하이베르크(교수) : "우리는 이런 특별한 종류의 장애에 대해 과거보다 더 잘알고 있다. 아이나르의 부모 특히 엄마 때문에 훨씬 조직화 됐다." 2년 전 세상을 떠난 둘째를 포함해 자녀 셋을 모두 한국에서 입양한 그론빅 씨 부부는 지난 11일 처음으로 아이들의 모국을 찾았습니다. 한국에서도 헌터 증후군 환자들을 만나 격려하는 등 못다한 사랑을 전하기 위해섭니다. <인터뷰> 유인화(헌터 증후군 환우회 회장) : "내 아이가 이미 사망했는데, 정말 감사하고, 잊지 못할 것 같아요...영원히." KBS 뉴스 이승철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