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멘트>
금융 감독원이 증시 안정을 위한 대책으로 악성 소문 단속에 나서기로 했습니다.
그러나 단속기준이 모호해서 논란을 일으키고 있습니다.
박종훈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유동성 위기설에 시달리던 한 기업은 지난 넉 달 동안 주가가 4만원 대에서 1만원대로 떨어졌습니다.
금융불안 속에 인수합병을 하는 바람에 자금난을 겪을 수 있다는 소문이 주가 하락에 큰 역할을 했습니다.
금융감독원은 이 같은 소문이 주가 하락을 더욱 부추기고 있다며 이에 대한 단속에 나서기로 했습니다.
<인터뷰> 송경철(금융감독원 부원장) : "증시약세에 편승해 확인되지 않은 루머가 증권 시장에 증권 시장에 광범위하게 유포되면서 금융시장의 공정한 거래질서를 저해할 소지가 있습니다."
금융감독원은 근거없는 위기설이나 금융불안을 조성하는 자료를 만든 경우 이를 사법당국에 고발하겠다는 계획입니다.
그러나 근거없는 소문의 기준이 모호해 단속과정에서 그 기준을 놓고 논란을 피할 수 없을 것으로 보입니다.
<인터뷰> 증권사 직원 : "루머의 기준이 굉장히 모호한데 사법적으로 처리한다면 소신있는 보고서를 어떻게 작성하나..."
또 인터넷 메신저로 주고 받은 소문까지 단속하겠다는 입장이어서 단속의 실효성도 없다는 지적입니다.
특히 금융감독당국이 악성 소문을 스스로 가려내는 시장의 자율 기능을 무시하고 엄포를 통해 주가 안정을 꾀하는 것은 안이한 대책이라는 비판이 나오고 있습니다.
KBS 뉴스 박종훈입니다.
금융 감독원이 증시 안정을 위한 대책으로 악성 소문 단속에 나서기로 했습니다.
그러나 단속기준이 모호해서 논란을 일으키고 있습니다.
박종훈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유동성 위기설에 시달리던 한 기업은 지난 넉 달 동안 주가가 4만원 대에서 1만원대로 떨어졌습니다.
금융불안 속에 인수합병을 하는 바람에 자금난을 겪을 수 있다는 소문이 주가 하락에 큰 역할을 했습니다.
금융감독원은 이 같은 소문이 주가 하락을 더욱 부추기고 있다며 이에 대한 단속에 나서기로 했습니다.
<인터뷰> 송경철(금융감독원 부원장) : "증시약세에 편승해 확인되지 않은 루머가 증권 시장에 증권 시장에 광범위하게 유포되면서 금융시장의 공정한 거래질서를 저해할 소지가 있습니다."
금융감독원은 근거없는 위기설이나 금융불안을 조성하는 자료를 만든 경우 이를 사법당국에 고발하겠다는 계획입니다.
그러나 근거없는 소문의 기준이 모호해 단속과정에서 그 기준을 놓고 논란을 피할 수 없을 것으로 보입니다.
<인터뷰> 증권사 직원 : "루머의 기준이 굉장히 모호한데 사법적으로 처리한다면 소신있는 보고서를 어떻게 작성하나..."
또 인터넷 메신저로 주고 받은 소문까지 단속하겠다는 입장이어서 단속의 실효성도 없다는 지적입니다.
특히 금융감독당국이 악성 소문을 스스로 가려내는 시장의 자율 기능을 무시하고 엄포를 통해 주가 안정을 꾀하는 것은 안이한 대책이라는 비판이 나오고 있습니다.
KBS 뉴스 박종훈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금감원 ‘증시 악성 루머’ 단속 논란
-
- 입력 2008-09-03 20:56:55

<앵커 멘트>
금융 감독원이 증시 안정을 위한 대책으로 악성 소문 단속에 나서기로 했습니다.
그러나 단속기준이 모호해서 논란을 일으키고 있습니다.
박종훈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유동성 위기설에 시달리던 한 기업은 지난 넉 달 동안 주가가 4만원 대에서 1만원대로 떨어졌습니다.
금융불안 속에 인수합병을 하는 바람에 자금난을 겪을 수 있다는 소문이 주가 하락에 큰 역할을 했습니다.
금융감독원은 이 같은 소문이 주가 하락을 더욱 부추기고 있다며 이에 대한 단속에 나서기로 했습니다.
<인터뷰> 송경철(금융감독원 부원장) : "증시약세에 편승해 확인되지 않은 루머가 증권 시장에 증권 시장에 광범위하게 유포되면서 금융시장의 공정한 거래질서를 저해할 소지가 있습니다."
금융감독원은 근거없는 위기설이나 금융불안을 조성하는 자료를 만든 경우 이를 사법당국에 고발하겠다는 계획입니다.
그러나 근거없는 소문의 기준이 모호해 단속과정에서 그 기준을 놓고 논란을 피할 수 없을 것으로 보입니다.
<인터뷰> 증권사 직원 : "루머의 기준이 굉장히 모호한데 사법적으로 처리한다면 소신있는 보고서를 어떻게 작성하나..."
또 인터넷 메신저로 주고 받은 소문까지 단속하겠다는 입장이어서 단속의 실효성도 없다는 지적입니다.
특히 금융감독당국이 악성 소문을 스스로 가려내는 시장의 자율 기능을 무시하고 엄포를 통해 주가 안정을 꾀하는 것은 안이한 대책이라는 비판이 나오고 있습니다.
KBS 뉴스 박종훈입니다.
-
-
박종훈 기자 jonghoon@kbs.co.kr
박종훈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