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호 받지 못하는 곤충 사육 농가

입력 2008.09.15 (07:4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요즘 집에서 애완용 곤충을 사다가 기르는 어린이들 참 많죠?

한해 수백억원대의 시장으로까지 성장할 정도인데, 가축과 달리 법이나 제도로 보호를 받지 못해 사육농가들이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유동엽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서울 외곽의 한 곤충 사육 농장.

사슴벌레와 장수 풍뎅이 등 애완용 곤충 수만마리가 자라고 있습니다.

이렇게 엄연히 사육 시설을 갖추고 있지만 법의 보호는 받지 못합니다.

축산법으로 지정된 동물 외에는 축산 시설로 등록할 수 없는 탓입니다.

<인터뷰> 권부환(곤충 사육 농장 대표): "가축으로 지정이 되면은 재해 보험을 받을 수 있고 자금 확충도 이루어져서 시설 확장하는 데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이런 곤충 사육 시설은 서울과 경기 지역에만 백여 곳이 있는 것으로 추산됩니다. 하지만 수도권 대부분을 차지하는 개발제한구역 내에는 이런 사육 시설을 설치할 수 없습니다.

사육농가들은 영농자금을 빌려 사육시설을 늘리고 싶어도 상환 능력과 관계없이 규정에 없다는 이유로 번번이 거절당하고 있습니다.

별도의 관련법 제정이 힘들면 우선 가축으로라도 인정해 달라는 요구에 농식품부는 일단 신중한 입장입니다.

<인터뷰> 노수현(농식품부 축산경영팀장): "집단적으로 사육하기 때문에 질병 발생 문제랄까 또 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문제 여러 가지가 발생할 수가 있습니다. 그런 부분들을 저희가 좀 더 자세하게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봅니다."

정부가 제도 보완을 미루는 사이 애완용 곤충 시장은 지난해 400억원 규모로 성장했습니다.

KBS 뉴스 유동엽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보호 받지 못하는 곤충 사육 농가
    • 입력 2008-09-15 07:26:12
    뉴스광장
<앵커 멘트> 요즘 집에서 애완용 곤충을 사다가 기르는 어린이들 참 많죠? 한해 수백억원대의 시장으로까지 성장할 정도인데, 가축과 달리 법이나 제도로 보호를 받지 못해 사육농가들이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유동엽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서울 외곽의 한 곤충 사육 농장. 사슴벌레와 장수 풍뎅이 등 애완용 곤충 수만마리가 자라고 있습니다. 이렇게 엄연히 사육 시설을 갖추고 있지만 법의 보호는 받지 못합니다. 축산법으로 지정된 동물 외에는 축산 시설로 등록할 수 없는 탓입니다. <인터뷰> 권부환(곤충 사육 농장 대표): "가축으로 지정이 되면은 재해 보험을 받을 수 있고 자금 확충도 이루어져서 시설 확장하는 데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이런 곤충 사육 시설은 서울과 경기 지역에만 백여 곳이 있는 것으로 추산됩니다. 하지만 수도권 대부분을 차지하는 개발제한구역 내에는 이런 사육 시설을 설치할 수 없습니다. 사육농가들은 영농자금을 빌려 사육시설을 늘리고 싶어도 상환 능력과 관계없이 규정에 없다는 이유로 번번이 거절당하고 있습니다. 별도의 관련법 제정이 힘들면 우선 가축으로라도 인정해 달라는 요구에 농식품부는 일단 신중한 입장입니다. <인터뷰> 노수현(농식품부 축산경영팀장): "집단적으로 사육하기 때문에 질병 발생 문제랄까 또 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문제 여러 가지가 발생할 수가 있습니다. 그런 부분들을 저희가 좀 더 자세하게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봅니다." 정부가 제도 보완을 미루는 사이 애완용 곤충 시장은 지난해 400억원 규모로 성장했습니다. KBS 뉴스 유동엽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2024 파리 올림픽 배너 이미지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