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멘트>
우리 해군의 위용, 어떻게 보셨습니까? 한국 해군은 이렇게 세계가 주목할 정도로 성장했습니다.
한국 해군의 성장과 과제를 국현호 기자가 짚어봤습니다.
<리포트>
세종대왕함은 한국을 세계 5번째 이지스함 보유국가로 자리매김하며 "대양해군" 가능성의 문을 열었습니다.
천 8백톤급 잠수함과 아시아 최대 상륙함 독도함도 우리 손으로 만든 겁니다.
소해정 몇 척으로 창군한지 61년 만에 괄목할만한 성장을 했습니다.
<녹취> 이명박(대통령) : "든든한 모습으로 국가를 지켜주었기 때문에 모든 국민은 마음 놓고 생업에 종사할 수 있었습니다."
해양 강대국 사이에 끼인 우리 해군의 수준은 현재 세계 10위 권을 지향하는 정도.
최근 소말리아 피랍 사태 등을 겪으면서 한반도 연안을 넘어 세계 주요 해상로까지 해군의 임무를 확대해야 한다는 주장까지 나옵니다.
<인터뷰> 박창권(박사/한국국방연구원) : "우리 해상 수송로를 보호하고 지역적 세계적 임무를 수행하면서 국민경제 활동과 해양이익을 보호해줄 수 있는..."
때문에, 강력한 함정을 확보하는데 그칠 것이 아니라, 다국적 연합작전 능력을 키우는 노력도 필요합니다.
<인터뷰> 이춘근(박사/한국해양전략연구소) : "세계 다른 무역 국가와 해양질서, 해양안전을 유지하는데 합동작전 또는 동참할 수 있는 그 정도 수준의 해군력을..."
또한, 최소 10년 앞을 내다보는 "차기 해군력 건설 계획"을 세워 치밀하게 추진하는 것도, 해군이 떠안은 과제 가운데 하나입니다.
KBS 뉴스 국현호입니다.
우리 해군의 위용, 어떻게 보셨습니까? 한국 해군은 이렇게 세계가 주목할 정도로 성장했습니다.
한국 해군의 성장과 과제를 국현호 기자가 짚어봤습니다.
<리포트>
세종대왕함은 한국을 세계 5번째 이지스함 보유국가로 자리매김하며 "대양해군" 가능성의 문을 열었습니다.
천 8백톤급 잠수함과 아시아 최대 상륙함 독도함도 우리 손으로 만든 겁니다.
소해정 몇 척으로 창군한지 61년 만에 괄목할만한 성장을 했습니다.
<녹취> 이명박(대통령) : "든든한 모습으로 국가를 지켜주었기 때문에 모든 국민은 마음 놓고 생업에 종사할 수 있었습니다."
해양 강대국 사이에 끼인 우리 해군의 수준은 현재 세계 10위 권을 지향하는 정도.
최근 소말리아 피랍 사태 등을 겪으면서 한반도 연안을 넘어 세계 주요 해상로까지 해군의 임무를 확대해야 한다는 주장까지 나옵니다.
<인터뷰> 박창권(박사/한국국방연구원) : "우리 해상 수송로를 보호하고 지역적 세계적 임무를 수행하면서 국민경제 활동과 해양이익을 보호해줄 수 있는..."
때문에, 강력한 함정을 확보하는데 그칠 것이 아니라, 다국적 연합작전 능력을 키우는 노력도 필요합니다.
<인터뷰> 이춘근(박사/한국해양전략연구소) : "세계 다른 무역 국가와 해양질서, 해양안전을 유지하는데 합동작전 또는 동참할 수 있는 그 정도 수준의 해군력을..."
또한, 최소 10년 앞을 내다보는 "차기 해군력 건설 계획"을 세워 치밀하게 추진하는 것도, 해군이 떠안은 과제 가운데 하나입니다.
KBS 뉴스 국현호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한국 해군 60년’ 변천과 과제
-
- 입력 2008-10-07 21:17:40

<앵커 멘트>
우리 해군의 위용, 어떻게 보셨습니까? 한국 해군은 이렇게 세계가 주목할 정도로 성장했습니다.
한국 해군의 성장과 과제를 국현호 기자가 짚어봤습니다.
<리포트>
세종대왕함은 한국을 세계 5번째 이지스함 보유국가로 자리매김하며 "대양해군" 가능성의 문을 열었습니다.
천 8백톤급 잠수함과 아시아 최대 상륙함 독도함도 우리 손으로 만든 겁니다.
소해정 몇 척으로 창군한지 61년 만에 괄목할만한 성장을 했습니다.
<녹취> 이명박(대통령) : "든든한 모습으로 국가를 지켜주었기 때문에 모든 국민은 마음 놓고 생업에 종사할 수 있었습니다."
해양 강대국 사이에 끼인 우리 해군의 수준은 현재 세계 10위 권을 지향하는 정도.
최근 소말리아 피랍 사태 등을 겪으면서 한반도 연안을 넘어 세계 주요 해상로까지 해군의 임무를 확대해야 한다는 주장까지 나옵니다.
<인터뷰> 박창권(박사/한국국방연구원) : "우리 해상 수송로를 보호하고 지역적 세계적 임무를 수행하면서 국민경제 활동과 해양이익을 보호해줄 수 있는..."
때문에, 강력한 함정을 확보하는데 그칠 것이 아니라, 다국적 연합작전 능력을 키우는 노력도 필요합니다.
<인터뷰> 이춘근(박사/한국해양전략연구소) : "세계 다른 무역 국가와 해양질서, 해양안전을 유지하는데 합동작전 또는 동참할 수 있는 그 정도 수준의 해군력을..."
또한, 최소 10년 앞을 내다보는 "차기 해군력 건설 계획"을 세워 치밀하게 추진하는 것도, 해군이 떠안은 과제 가운데 하나입니다.
KBS 뉴스 국현호입니다.
-
-
국현호 기자 eichitwo@kbs.co.kr
국현호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